Hyundai Heritage #4
Global Top 10으로

현대자동차 GT-10(Global-Top 10) 프로젝트

90년대에 들어서면서 세계정세는 큰 변화를 맞이했습니다. 소련 연방으로 대표되던 동구권 공산주의의 몰락과 독일 통일 등으로 인해 이데올로기의 대립에서 벗어났고, 우루과이 라운드로 대표되는 자유무역시대로 들어섰으며 자동차 업계 또한 여러 가지 변화를 맞이하고 있었습니다. 규모의 경제가 더욱 중요시되면서 역사가 길고 기술력이 높더라도 생산량이 적은 업체들은 도산하거나 다른 회사에 인수되어 명맥을 유지하게 되었습니다. 자동차업체들 사이에서는 경쟁이 강화되는 동시에 다양한 제휴도 진행되었고, 21세기의 세계 자동차 산업은 상위 10위권의 제조사를 중심으로 재편될 것이라는 예상이 지배적이었습니다.
현대자동차는 연간 200만대 이상의 고품질 차들을 생산하며 국제환경에 적응하여 세계적인 자동차회사로 도약하겠다는 GT-10(Global-Top 10) 프로젝트를 1990년 9월부터 추진했습니다. 연구개발 역량을 높이기 위해 93년 8월에는 국내 최대의 슈퍼컴퓨터를 활용하기 시작하여 차량 개발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줄이면서도 기술적으로 앞선 차를 개발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21세기를 대비한 친환경차에 대한 연구도 다각도로 활발하게 이루어졌고 다양한 산학협동활동도 진행되었습니다. 특히 포항공대 연구팀과 공동으로 첨단 무인자동차를 개발하여 내구성 주행테스트를 자동화시키기도 했습니다.
신제품 출시와 남양 종합기술연구소 완공
-
연구개발은 친환경차량과 산학협동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다양한 신제품 출시로 이어졌습니다. 대형차인 뉴 그랜저부터 베스트셀러로 등극한 쏘나타 시리즈, 라인업의 허리를 든든히 받쳐준 전략모델 아반떼, 스쿠프와 티뷰론으로 이어진 스포츠카, 로열티를 하나도 지출하지 않은 순수 독자개발 모델인 엑센트, 경차인 아토스까지 폭넓은 제품 포트폴리오를 구성했습니다.
-
GT-10 진입에 대한 노력은 산학협동과 차종개발에 국한되지 않고 연구시설에 대한 투자로 이어졌습니다. 기존의 미국 연구소는 역량을 강화시켰으며 LA 디자인센터도 설립했습니다. 특히 92년 발표된 컨셉트카 HCD-1은 열광적인 반응을 불러일으키며 현대자동차의 디자인 역량을 과시했습니다.

또한 유럽과 일본에 기술연구소를 세웠고 95년 4월에는 최첨단 개발설비와 테스트 시설을 갖춘 세계 10대 규모의 남양 종합기술연구소를 완공하여 뛰어난 연구개발 역량을 확보하게 되었습니다.
현대자동차는 연간 200만대 이상의 고품질 차들을 생산하며 국제환경에 적응하여 세계적인 자동차회사로 도약하겠다는 GT-10(Global-Top 10) 프로젝트를 1990년 9월부터 추진했습니다.
기아자동차 합병

97년 후반 대한민국의 경제는 외환위기로 인해 혼돈에 휩싸였습니다. 특히 삼성의 신규진입으로 제조사가 9개에 달한 한국 자동차 산업은 과잉투자의 절정이라 할 수 있었습니다. 결국 기아자동차를 모기업으로 하는 기아그룹은 부도를 피하지 못했고 국가경제 또한 악화되었습니다. 자체회생이 불가능한 기아자동차를 정상화할 수 있는 방안으로 선택된 것은 제3자 매각이었고 98년 말 현대자동차가 기아자동차를 식구로 맞이하게 되었습니다. 전통적으로 다른 기업을 인수하기보다는 창업을 선호하는 현대의 기업문화에서 기아자동차 인수는 대한민국 자동차산업 발전에 대한 현대자동차의 국가적인 사명이 반영된 조치였습니다.

기아자동차를 가족으로 맞이한 현대자동차는 연간 165만대에서 250만대로 생산능력이 늘어나면서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며 세계 10대 업체로 진입함과 동시에 플랫폼 공유를 통해 시너지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었습니다. 고급차 메이커인 벤츠와 대중차 메이커인 크라이슬러 합병은 제품 라인업의 확장을 가져왔으나 서로 공유할 수 있는 플랫폼이 부족했고 품질기준도 달랐던 반면, 현대와 기아는 플랫폼을 통합하여 공유할 수 있는 차종이 많았습니다. 게다가 양사에 산재해있던 부품업체들도 전문화, 대형화를 이룰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여 한국 자동차산업 전반의 경쟁력을 끌어올리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
엑센트 광고
-
-
뉴 그랜저
-
남양연구소
-
엑센트
-
-
HCD-1
-
티뷰론
Hyundai Heritage에 대한 더 자세한 이야기
-
Hyundai Heritage #1
자동차의 한반도 상륙과 자동차 산업의 태동
-
Hyundai Heritage #2
포니의 탄생
-
Hyundai Heritage #3
고유모델을 넘어 독자개발의 길로
-
Hyundai Heritage #5
품질경영과 Global Top 5 달성, 그리고 새로운 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