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UNI-ON, 새로운 플랫폼의 점화

‘ART-UNI-ON(이하 AUO)’은 전세계 미술을 공부하는 학생들의 더 큰 발전을 위한 글로벌 미술대학 네트워크입니다. 세계 곳곳에서 젊고 재능 있는 예술가 및 전문가들의 필요성은 날로 중요해지고 있으며, 이를 위한 국제적인 감각과 역량 개발이 절실해졌습니다. 이들의 진출을 위한 준비의 장을 서울대학교와 현대자동차가 만나 준비했습니다.
AUO는 온라인 플랫폼을 중심으로 진행되는 열려있는 차세대 예술가들과 큐레이터들을 위한 대화의 창구인데요, 마치 세계 곳곳에서 제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AUO 어드바이저, 멘토들과도 닮았습니다. 장벽 없는 온오프라인 교육의 활성화로 멘토들과의 교류뿐만 아니라 관객과의 활발한 소통의 장이 될 것입니다.
예비 예술계 리더들을 참가 대상으로 하는 본 프로그램은 필드에서 활동하는 멘토의 피드백을 제공하며 실질적인 도움을 가능케 합니다. 이들의 멘토링 내용 및 결과물은 일반인들에게도 모두 공개됩니다. 각 아티스트들과 큐레이터들 나아가 세계 미술대학들 간의 국제적 교류와 네트워크가 구축되어 향후 보다 역동적인 장으로 발전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AUO 멘토링 그리고 AUO 아티스트, AUO 큐레이터

AUO 멘토링 프로그램은 2015년 6월 1일 온라인 오픈을 통해 1기 참여 AUO 아티스트에 대한 지원을 받았습니다. 전세계 미술대학(원) 재학생을 대상으로 심사를 통해 매번 5명의 아티스트를 선발하여 1기부터 6기까지 지금까지 총 30여명이 선발되었고 각각 6개월 동안의 멘토링을 진행했습니다. 2018년부터는 5명의 AUO 아티스트와 함께 추가로 2명의 AUO 큐레이터를 모집합니다. 이들은 AUO 아티스트와 동일하게 멘토링을 받으며 프로그램 기간 동안 AUO 아티스트와 함께 작품 전시를 준비하고 개최하는 기회를 갖게 됩니다.
AUO 멘토링 프로그램에는 작가 이용백, 작가 유근택, 작가 공성훈, 작가 데이비드 브룩스, 디자이너 배상민, 토탈미술관 큐레이터 신보슬, 중국 중앙미술학원 미술관 학예연구부장 왕춘첸, 작가 김태윤, 작가 천민정, 미술평론가 정현, 슬기와 민 디자이너 최성민, 아트아시아퍼시픽 디렉터 Elaine W. Ng, The Fanzhi Foundation 디렉터 Gladys Chung 등 국내외 전문가들이 멘토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AUO 멘토에 의해 선정된 학생은 ‘AUO 아티스트’와 ‘AUO 큐레이터’로서 6개월간 1-2명의 멘토로부터 작품 또는 포트폴리오(전시기획서 포함)에 대한 크리틱을 받게 되며 크리틱의 진행 상황과 결과는 AUO 온라인 플랫폼에 모두 공개되며 이는 일반인도 피드백이 가능한 열린 소통의 장입니다. 아티스트와 큐레이터의 역량 개발은 비단 전문가들의 조언뿐만 아니라 대중, 그리고 이들 간의 소통 속에서 이루어질 것입니다. 서로 다른 다양한 환경에서 땀 흘리고 있는 미래의 아티스트와 큐레이터에게 AUO는 서로 영감을 주고받는 신선한 자극이 될 것으로 기대합니다.
2018년 제7기 멘토링 프로그램에 참가를 희망하는 국내외 미술, 디자인 및 건축, 전시기획 대학•대학원(박사과정 포함) 재학생은 현재 아트유니온(AUO) 사이트에 작품 또는 포트폴리오(전시기획서 포함)을 업로드해 지원할 수 있습니다. 작품 활동을 하는 타 전공생도 지원 가능하며 멘토링 프로그램은 동일하게 6개월 단위로 연중 진행될 예정입니다.
자세한 지원 방법은 AUO 사이트를 참고해주세요.
바로가기 >미래 리더들을 이끌어 줄 AUO 어드바이저

AUO의 어드바이저는 세계적 석학 및 문화예술계 인사로 선정되었습니다. 이들은 오랜 시간 자신의 분야에 몸담으며 명망 있는 아티스트 및 석학으로 성장하였고 그들이 가진 가치와 생각을 공유하는 것은 예비 아티스트들에게 커다란 영감이 될 것이며 전문가들 역시 긍정적이고도 발전적인 방향성을 제시하며 이끌어 나갈 것입니다. 이들이 공유하는 예술에 대한 비전과 조언은 AUO 사이트 내 “The Voice"에 게재됩니다.
1. 이우환 작가
1936. 6. 24 (한국)
1956 서울대학교 중퇴
1961 일본대학교 철학 학사
1973~ 일본 타마미술대학교 교수
이우환은 재일교포 화가이자 조각가로 일본 모노파의 이론과 실천을 주도한 예술가입니다. 자연과 인간의 관계에 대한 깊이 있는 숙고가 이우환의 작품 전체를 아우르고 있습니다. 그는 수많은 비엔날레와 국제전시에 초청받으며 그 독보적인 작품세계를 인정받았으며 현재까지도 가장 영향력 있는 작가 중 한 명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주요 작품은 <선으로부터>(1984), <관계항>(1988), <조응>(1988) 등이 있습니다.
2. 승효상 대표
1952. 10. 26 (한국)
1975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학사
1979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석사
1989~ 이로재 대표
2011 제4회 광주디자인비엔날레 공동감독
승효상은 한국을 대표하는 건축가로 그의 건축 철학인 ‘빈자의 미학’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그는 동양의 비움을 건축에 재현하며 수많은 국내외 유명 건축물들을 설계하였는데 노무현 전 대통령 묘역과 ‘수졸당,’ 아부다비 문화지구 전시관 등이 대표적으로 뽑힙니다. 승효상은 김수근 문화상, 한국건축문화대상 등을 수상하였고 국립현대미술관에서 개인전을 가지는 등 건축가로서 성공적인 행보를 걷고 있으며 1989년부터 현재까지 이로재 대표를 역임하고 있습니다.
3. 배병우 작가
1950. 5. 22 (한국)
1974 홍익대학교 응용미술학 학사
1977 홍익대학교 대학원 응용미술학 석사
1981~2011 서울예술대학 사진과 교수
1988~1989 독일 빌레펠트 대학교 사진디자인과 연구교수
2011 C20 한국 대표 예술가 선정
소나무 사진작가로 잘 알려져 있는 배병우는 소나무를 시작으로 바다, 제주, 창덕궁, 바람 등의 자연풍경을 흑백사진으로 담아내고 있습니다. 그의 사진은 특유의 명상적이고도 웅장한 분위기로 좌중을 압도하는데 이는 한국의 미를 응축해서 잘 표현했다는 찬사를 받고 있습니다. 배병우는 국내외 수많은 전시들에 초대받았으며 유명 컬렉터들의 러브콜을 받는 등 국제적인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4. Paola Antonelli, MoMA 시니어 큐레이터
1963 (이탈리아)
1990 M.A in Architecture, Polytechnic of Milan
2012~ Director of a new Research and Development Initiative
Senior Curator of Architecture & Design, Director of R&D, The Museum of Modern Art
Paola Antonelli는 현재 MoMA의 Department of Architecture & Design 시니어 큐레이터로 최근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100인(예술부문)으로 선정되는 등 문화예술계 유명인사로 알려져 있습니다. 수많은 잡지의 편집장을 역임하기도 한 그는 미국 하버드 대학교, 캘리포니아 대학교와 유럽 여러 대학에서 디자인과 건축의 이론과 역사를 강의했으며 다양한 전시를 기획하며 디자인과 건축의 긴밀한 연계를 도모하고 있습니다.
5. Anna Valtonen, Aalto University 학장
2007 Doctor of Arts degree at the University of Art and Design Helsinki
2009 Rector of the UmeåInstitute of Design at Umeå University in Sweden
2014~ Dean at Aalto University School of Arts, Design and Architecture
Anna Valtonen은 현재 핀란드 Aalto University의 School of Arts, Design and Architecture 학장으로 핀란드 디자인 역사와 더불어 조직과 단체에서 디자인이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를 중점적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그는 프랑스의 ESSEC Business School에서 방문연구원 및 교수를 역임했으며 1997년부터 2009년까지는 노키아에서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등 디자인에 대한 깊은 이해와 실질적인 경영을 결합할 수 있는 전문가로 평가 받고 있습니다.
6. John Rajchman, Columia University 교수
1946. 6. 25
B.A Yale University
Ph. D Columbia University
John Rajchman은 프린스턴 대학교, MIT 대학교를 거쳐 현재 컬럼비아 대학교 미술사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습니다. 그는 들뢰즈와 푸코 연구로 세계적인 석학의 반열에 올랐으며 현대미술과 건축, 도시 문제 등을 철학적으로 풀어내며 문화예술계 전반에 적지 않은 영향력을 끼치고 있습니다. 수많은 전시와 비엔날레, 저서와 강연 등을 통해 나타나는 그의 분석은 예술가들과 학자들에게 커다란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