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SIMG

Brilliant Ideas Episode #15: 쉬빙

평등을 구현하는 언어의 마술사

Installation view <The Language of Xu Bing> December 20, 2014-July 26, 2015 Los Angeles County Museum of Art ⓒ Xu Bing Photo ⓒ 2015 Museum Associates/LACMA

21세기형 문자를 제시하다

<Square Word Calligraphy Classroom> 1994 mixed media installation / desk, chair sets, copy and tracing books, brushes, ink, video, Xu Bing Studio ⓒ Xu Bing, Photo courtesy Xu Bing Studio

과거의 모습을 찾아보기 힘들 만큼 현대사회는 많은 변화를 이룩했습니다. 그럼에도 우리는 여전히 과거와 같은 언어를 사용하며 옛 언어를 이용해 글을 쓰고 있습니다. 중국 설치미술가 쉬빙(Xu Bing)은 이런 현상에 의문점을 제기합니다. 시대가 변화함에 따라 더는 옛 언어들이 제대로 적용되지 않는다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이에 쉬빙은 새 언어를 창조해 해결책을 제시했습니다. 그의 언어는 누구도 읽을 수 없는 ‘무의미’로 가득 차 있기도 하며 반대로 누구나 읽을 수 있습니다. 그는 두 가지 상반된 ‘쓰기’를 통해 궁극적으로 그는 모두가 누릴 수 있는 언어적 평등을 구현합니다. 문자가 지니는 한계와 소통의 장벽을 뛰어넘는 쉬빙. 그가 제작한 21세기형 문자를 통해 현대적 문자예술의 신 기류가 탄생하는 순간을 Brilliant Ideas Episode 열다섯 번째 이야기에서 소개합니다.

문자의 양면성

Installation view <The Language of Xu Bing> December 20, 2014-July 26, 2015 Los Angeles County Museum of Art ⓒ Xu Bing Photo ⓒ 2015 Museum Associates/LACMA

전시장을 한 가득 채운 대규모 설치작품 <천서(Book from the Sky)>에는 수천 개의 글자가 빼곡히 적혀있습니다. 과연 무슨 내용이 쓰여 있을까 호기심을 불러일으키는 작품에 다가서면 관람객 앞에는 판이한 두 가지 광경이 펼쳐집니다. 중국 외 타 문화권 관람객들에게 <천서> 속 글자들은 크게 신기할 일이 아닙니다. 그들 눈에는 어느 다른 한자와 다를 바 없을 정도로 단순히 한자로 보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중국 관람객들은 당혹스러움을 감추지 못합니다. 작품에 적혀있는 단 한 글자도 제대로 읽을 수 없어서 입니다. 자신들의 언어임에도 읽을 수 없다는 좌절감 속에서 관람객들은 마치 문맹이 된 것 같은 기분에 휩싸입니다. 심지어 몇몇 중국 관람객들은 글자를 읽을 수 없음에 화를 내기도 했습니다.
<천서> 속 글자는 쉬빙이 로마자 알파벳을 한자 상형문자로 그려내 탄생시킨 완전히 새로운 문자입니다. 그는 자신이 만든 가짜 문자를 찍기 위해 4,000개의 목활자를 직접 만들어 인쇄해, 전시장 전체에 그가 출간한 책을 족자 형태로 걸어 마치 하늘에서 내려온 문자처럼 전시했습니다. 문자가 지닌 본 역할은 문자에 담긴 뜻을 통해 내용을 전달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쉬빙의 글자는 읽을 수조차 없으므로, 그 내용을 간파하는 것은 애초부터 불가능한 일입니다. 그는 언어가 지닌 가장 큰 의미를 상실하게 해 문자를 통한 소통에 문제를 제기하며 문자가 지닌 뜻이 얼마나 쉽게 조작될 수 있는지 꼬집습니다. 나아가 쉬빙의 문자로 진행되는 ‘쓰기(또는 non-writing)’는 언어가 남용되는 현실을 비판하고 있습니다.

Installation view <The Language of Xu Bing> December 20, 2014-July 26, 2015 Los Angeles County Museum of Art ⓒ Xu Bing Photo ⓒ 2015 Museum Associates/LACMA

<천서>가 누구도 읽을 수 없는 책이라면, 2003년부터 시작한 <지서(Book from the Ground)>는 그에 반대되는 개념을 담고 있습니다. 쉬빙은 전 세계 공항과 공공장소에서 볼 수 있는 여행과 광고적 메시지를 담고 있는 혼성 국제어(lingua franca) 로고를 수집했습니다. 이 로고들은 전달하고자 하는 뜻이 간단하고 명료해, 동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이라면 그 뜻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느끼지 않을 정도로 쉬운 이미지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는 이런 낯익은 사인들을 새로운 유닛으로 묶어 하나의 이야기를 구성해 모두가 읽을 수 있는 책을 만들었습니다. 쉬빙은 자신이 창조한 또 다른 언어에 이러한 설명을 덧붙입니다. “이 책을 읽을 수 있는 해석 가능성은 당신이 어떤 언어를 쓰고 있느냐에 달려 있지 않을 뿐 아니라, 글을 읽을 수 있느냐 없느냐에도 달려있지 않습니다. 다만 당신이 얼마나 동시대의 삶에 깊이 관여되어 살아가느냐에 달려있습니다.” 그는 하나의 문자가 해당 문화권에서만 보편적으로 읽힌다는 한계를 뛰어넘고자, 역설적으로 읽을 수 없는 문자를 만들거나 제3의 문자를 제시한 것입니다.

문제가 있는 곳에 예술이 있다

Installation view <The Language of Xu Bing> December 20, 2014-July 26, 2015 Los Angeles County Museum of Art ⓒ Xu Bing Photo ⓒ 2015 Museum Associates/LACMA

1990년, ‘천안문사태’로 인해 쉬빙의 예술 활동은 전환점을 맞이합니다. 천안문사태에서 ‘인민은 학생 편이다’라는 문구를 담은 대형포스터를 제작한 그는, 중국 정부의 통제를 견디다 끝내 미국망명이라는 길을 택하게 됩니다. 이후 뉴욕에 기반을 마련해 자신의 문화적 정체성과 전통문화에 대한 고민에 무게를 두었습니다.
미국 망명 후 쉬빙이 공개한 첫 작품 <Ghost Pounding the Walls>은 중국 전통기법인 탁본을 통해 종이 만리장성을 제작한 것입니다. 만리장성의 규모에 걸맞게 거대 설치로 선보이는 작품은 중국 문화의 정체성에 대한 고민으로 시작됐습니다. 만리장성은 지난 2천 년간 중국인들의 육체적·시간적 노력을 담고 있는 유산으로 현재까지도 중국 국력의 상징으로 중국인에게 자부심을 심어주고 있습니다. 중국이 낳은 위대한 유산의 탁본을 제작하는 행위는 마치 만리장성이 지닌 위대함을 기리기 위한 모습처럼 보이지만 그가 탁본에 참여하는 이유는 ‘무의미함(meaningless)’을 증명하기 위해서입니다.

Installation view <The Language of Xu Bing> December 20, 2014-July 26, 2015 Los Angeles County Museum of Art ⓒ Xu Bing Photo ⓒ 2015 Museum Associates/LACMA

종이 만리장성은 거칠다는 표현이 맞을 정도로 유산이 지니는 우아함과는 거리가 있습니다. 그는 거친 탁본을 계속 뜨는 무의미한 행위를 통해 만리장성에 대한 의문점에서 더 나아가 인간의 육체적 노력에 관한 질문으로 확장합니다. 사람이 아무리 노력을 한다 할지라도 선조들이 한정 지어놓은 장벽으로 인해 모든 것이 의미를 가지지 못함을 자신이 탁본에 참여함으로써 몸소 증명해 보이고 있는 것입니다. 또한, 쉬빙은 “몇몇 사고는 의미가 없으며, 한편으론 매우 보수적입니다. 이런 닫혀있는 사고는 중국정치가 고립되어있단 것을 상징합니다”라는 의견을 덧붙이며, 탁본을 통해 현재 중국 정치적 상황에 대한 비판을 더합니다.
중국에서 성장하고, 중국적 교육을 받았으며 문화대혁명을 겪은 1세대 작가 쉬빙은 예술을 하는 데 있어 자연스레 내재한 중국성에 의지합니다. 비록, 미국에서 견문을 넓힌 그이지만 쉬빙의 작품에서 미국문화 흔적을 찾기는 쉽지 않습니다. 종종, 현대예술에 그다지 관심이 없다는 말을 건네는 그는 중국적 전통과 중국에서 나타나는 사회문제에 더 집중합니다. ■ with ARTINPOST

  • <Holding the Brush> 1996

    handscroll, woodblock print, The Carolyn Hsu & Rene Balcer Collection ⓒ Xu Bing, Photo courtesy Xu Bing Studio

    <Holding the Brush> 1996 handscroll, woodblock print, The Carolyn Hsu & Rene Balcer Collection ⓒ Xu Bing, Photo courtesy Xu Bing Studio
  • <Softening the Brush> 1996

    handscroll, woodblock print, The Carolyn Hsu & Rene Balcer Collection ⓒ Xu Bing, Photo courtesy Xu Bing Studio

    <Softening the Brush> 1996 handscroll, woodblock print, The Carolyn Hsu & Rene Balcer Collection ⓒ Xu Bing, Photo courtesy Xu Bing Studio
  • <Silkworm Book> 1998

    book encased in silkworm cocoon, Xu Bing Studio ⓒ Xu Bing, Photo courtesy Xu Bing Studio

    <Silkworm Book> 1998 book encased in silkworm cocoon, Xu Bing Studio ⓒ Xu Bing, Photo courtesy Xu Bing Studio
  • <The Character of Characters> 2012

    seventeen-minute animated film, Xu Bing Studio ⓒ Xu Bing, Photo courtesy Xu Bing Studio

    <The Character of Characters> 2012 seventeen-minute animated film, Xu Bing Studio ⓒ Xu Bing, Photo courtesy Xu Bing Studio
  • <Square Word Calligraphy Classroom> 1994

    mixed media installation / desk, chair sets, copy and tracing books, brushes, ink, video, Xu Bing Studio ⓒ Xu Bing, Photo courtesy Xu Bing Studio

    <Square Word Calligraphy Classroom> 1994 mixed media installation / desk, chair sets, copy and tracing books, brushes, ink, video, Xu Bing Studio ⓒ Xu Bing, Photo courtesy Xu Bing Studio
  • Installation view <The Language of Xu Bing>

    December 20, 2014-July 26, 2015 Los Angeles County Museum of Art ⓒ Xu Bing Photo ⓒ 2015 Museum Associates/LACMA

    Installation view <The Language of Xu Bing> December 20, 2014-July 26, 2015 Los Angeles County Museum of Art ⓒ Xu Bing Photo ⓒ 2015 Museum Associates/LACMA
  • Installation view <The Language of Xu Bing>

    December 20, 2014-July 26, 2015 Los Angeles County Museum of Art ⓒ Xu Bing Photo ⓒ 2015 Museum Associates/LACMA

    Installation view <The Language of Xu Bing> December 20, 2014-July 26, 2015 Los Angeles County Museum of Art ⓒ Xu Bing Photo ⓒ 2015 Museum Associates/LACMA
  • Installation view <The Language of Xu Bing>

    December 20, 2014-July 26, 2015 Los Angeles County Museum of Art ⓒ Xu Bing Photo ⓒ 2015 Museum Associates/LACMA

    Installation view <The Language of Xu Bing> December 20, 2014-July 26, 2015 Los Angeles County Museum of Art ⓒ Xu Bing Photo ⓒ 2015 Museum Associates/LACMA
  • Installation view <The Language of Xu Bing>

    December 20, 2014-July 26, 2015 Los Angeles County Museum of Art ⓒ Xu Bing Photo ⓒ 2015 Museum Associates/LACMA

    Installation view <The Language of Xu Bing> December 20, 2014-July 26, 2015 Los Angeles County Museum of Art ⓒ Xu Bing Photo ⓒ 2015 Museum Associates/LACMA
  • Installation view <The Language of Xu Bing>

    December 20, 2014-July 26, 2015 Los Angeles County Museum of Art ⓒ Xu Bing Photo ⓒ 2015 Museum Associates/LACMA

    Installation view <The Language of Xu Bing> December 20, 2014-July 26, 2015 Los Angeles County Museum of Art ⓒ Xu Bing Photo ⓒ 2015 Museum Associates/LACMA
  • Installation view <The Language of Xu Bing>

    December 20, 2014-July 26, 2015 Los Angeles County Museum of Art ⓒ Xu Bing Photo ⓒ 2015 Museum Associates/LACMA

    Installation view <The Language of Xu Bing> December 20, 2014-July 26, 2015 Los Angeles County Museum of Art ⓒ Xu Bing Photo ⓒ 2015 Museum Associates/LACMA
  • Installation view <The Language of Xu Bing>

    December 20, 2014-July 26, 2015 Los Angeles County Museum of Art ⓒ Xu Bing Photo ⓒ 2015 Museum Associates/LACMA

    Installation view <The Language of Xu Bing> December 20, 2014-July 26, 2015 Los Angeles County Museum of Art ⓒ Xu Bing Photo ⓒ 2015 Museum Associates/LACMA

Profile

쉬빙

Xu Bing at New York 2010 Courtesy of Xu Bing Studio

1955년에 중국에서 태어난 쉬빙(Xu Bing)은 중국을 넘어서 국제적으로 이름을 떨치고 있는 설치미술가이자 서예가입니다. 중앙미술학원에서 수학한 그는 이후 중앙미술학원 부원장을 역임하며 많은 예술가를 배출했으며, 1999년 맥아더상, 2003년 후쿠오카 아시아문화대상 예술문화부문을 수상하며 저력을 입증했습니다.
천안문 사태 후 1990년 미국으로 망명한 쉬빙은 문자를 소재로 작업하며 언어를 통한 소통에 문제를 제기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는 문자와 그 안에 담긴 의미가 얼마나 쉽게 조작될 수 있는가를 드러내는 작품을 주로 선보여 왔습니다. 로마자 알파벳 문자를 한자의 형태로 만든 작품 <New English Calligraphy>로 큰 반향을 일으킨 바 있으며, 미국 911테러 현장인 그라운드 제로의 먼지를 수집한 <Where the dust itself collect?>로도 주목 받았습니다. 자신이 고안한 가짜 문자로 목활자 4,000여 개를 만들어 인쇄해 만든 책을 설치한 <Book from the Sky>는 규모 면에서도 압도적이었습니다.
전통과 현재를 자유자재로 주무르는 문자예술가 쉬빙은 최근 그림문자를 개발해 상징과 기호로만 이루어진 소설 『Book from the Ground』를 출판하는 등 활발한 활동을 펼치고 있습니다.

View more in A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