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SIMG

Brilliant Ideas Episode #38: 서도호

부유하는 공간을 만드는 창조자

Installation view of <Do Ho Suh: Passage> at the Contemporary Arts Center Courtesy the Contemporary Arts Center, ⓒ Tony Walsh.

유연한 공간

Installation view of <Do Ho Suh: Passage> at the Contemporary Arts Center Courtesy the Contemporary Arts Center, ⓒ Tony Walsh.

전시장 안에 집이 들어섭니다. 평소 사용하던 가구, 방, 화장실 등 집 안 모든 것이 그대로 있습니다. 반투명한 천으로 만든 집은 압도적인 스케일뿐 아니라 상당히 세밀하게 묘사돼 있습니다. 자신이 살던 한옥을 은조사로 만든 작품으로 세계 미술계에서 주목받은 서도호는 전시공간의 단단하고 흰 벽과 상반되는 부드럽고 가벼운 소재인 천으로 자신이 거주한 L.A. 뉴욕, 베를린 등의 집을 지었습니다.

장소 특정성에 대한 관습적인 개념에 반항하는 정교한 설치로 잘 알려진 한국 대표 현대 미술가, 서도호를 블룸버그와 현대자동차가 마련한 Brilliant Ideas 서른여덟 번째 이야기에서 만나보시기 바랍니다.

한국 집, 서양 집

Installation view of <Do Ho Suh: Passage> at the Contemporary Arts Center Courtesy the Contemporary Arts Center, ⓒ Tony Walsh.

서도호는 한국에서 한국화를 전공한 후 1991년 미국 유학길에 오릅니다. 유학생활 중 타지에서 십여 년 이상을 머무른 그는 다른 문화를 접하며 개인, 문화, 지역 등 차이에서 비롯한 다양한 충돌을 경험합니다. 특히 삶의 방식과 거주하는 사람의 정체성을 드러내는 집이라는 공간에서 가장 큰 차이를 발견하는데, 이로 인해 개인적인 공간에 관한 작가의 인식이 바뀌게 됩니다. 차이에서 기인한 인식의 변화에 대한 경험은 그에게 흥미롭게 다가왔고, 한국과 미국이라는 지역적 거리감과 물리적이면서도 심리적인 공간의 차이를 작품으로 승화했습니다. 자신이 살던 집의 모든 수치를 재고 이를 천으로 정교하게 떠낸 작품을 선보인 것입니다. 그는 문고리, 콘센트, 스위치 등 집 안을 채우는 소품을 섬세하게 재현합니다. 작가의 개성이 돋보이는 정교하고 예리한 묘사법은 서정적이고 절제된 시선에서 기인합니다. 그의 대표작 집 프로젝트는 이렇게 탄생합니다. 천을 사용한 이유는 가벼워서 이동이 간편하기 때문으로, 천이라는 소재는 단단하고 무거운 물질로 지은 건축물을 부드럽고 가벼운 비물질로 전환했습니다. 그는 집을 물질적인 세계에 가두지 않고 비물질적인 세계로 확장합니다. 어디로든 이동 가능한 집의 탄생은 LA 한국문화원에서 선보인 <Seoul Home/L.A. Home>(1999)을 통해 실현됐습니다, 작가가 한국에서 살던 전통 한옥을 은조사로 재현한 작품으로, 다양한 바느질 방식으로 다양한 천이 만들어지듯 작가는 이 프로젝트도 여러 분야 사람과 협력해 풀어나갔습니다.

Installation view of <Do Ho Suh: Passage> at the Contemporary Arts Center Courtesy the Contemporary Arts Center, ⓒ Tony Walsh.

서도호 작품에서 드러나는 색감과 조명은 한국의 전통문화를 바탕으로 합니다. 그의 작품에서 드러나는 한국 전통 문화적 요소는 한옥의 외형뿐 아니라 그의 미감에 깊숙이 자리합니다. 한편, 경건함마저 감도는 은은한 색감도 그의 작품에서 빠질 수 없는 특징입니다. 그는 주로 옅은 옥색이나 청자색을 사용하는데, 이는 한국 전통 가옥 천장 종이에서 영감을 받은 것입니다. 보통 전통 한옥은 벽면엔 흰색 종이를 바르고, 천장에는 하늘색이나 옥색 벽지를 바릅니다. 하늘이나 우주를 상징하는 의미입니다. 이러한 전통 한옥에 거주하는 학자가 방에서 공부할 때 우주나 더 커다란 공간을 상상할 수 있게끔 합니다. 작품의 투명성은 한옥 창호지에서 딴 것입니다. 서도호가 그러한 고급스럽고 은은한 색상과 질감을 작품에 끌어온 이유입니다.

개인에서 타인으로의 전이

Installation view of <Do Ho Suh: Passage> at the Contemporary Arts Center Courtesy the Contemporary Arts Center, ⓒ Tony Walsh.

서도호의 작품은 한국인의 전통과 감성을 놓치지 않으면서도, 세계 곳곳 자신이 거주하는 집을 그대로 재현해, 공간과 집이라는 전 세계가 공감할 수 있는 소재를 끌어옵니다. 일관적으로 공간에 관심을 두지만, 다양한 발상과 자유로운 방식으로 집이라는 주제에 접근하며 세대, 공간, 장소 등 모든 것을 초월합니다. 다양한 지역에서 살았던 집을 만든 것 외에도 미국 유학 시절 이방인으로서 느낀 감정을 한옥이 미국 집에 떨어져 부딪친 것으로 표현한 <Fallen Star-1/5th Scale>(2008-2011) 등 다양한 장소 특정 설치 프로젝트를 통해 그의 집은 서로 다른 문화, 서로 다른 개개인을 잇는 경계이자 통로가 됩니다. 그는 작품을 통해 개별성, 집단성, 익명성의 관계를 탐색합니다. 카르마, 관계, 공간을 주제로 개인 공간, 자아, 정체성에 대한 경계를 탐구하며 흥미로운 화두를 끌어냅니다.

Installation view of <Do Ho Suh: Passage> at the Contemporary Arts Center Courtesy the Contemporary Arts Center, ⓒ Tony Walsh.

서도호에게 집은 언제나 같은 자리에 있고 이동하는 것은 자신이었지만, 그의 작품을 통해서 집이 이동합니다. 전시장 허공에 자유로이 떠 있는 집은 지극히 개인적인 공간이나, 작가의 집은 전시공간과 반응해 새로운 해석을 끌어냅니다. 그리고 그 집은 다시금 관람자의 경험, 기억과 맞닿아 매번 타인의 공간으로 새롭게 탄생합니다. 다양한 의미 부여와 해석 가능성을 열어두며 새로운 관계성을 낳는 것입니다. 작가가 작품을 만들고, 작품이 다시 전시 공간에 들어와 관람객을 만나 맺는 다양한 관계와 상호작용은 그 안에서 또 다른 의미를 덧붙입니다.
서도호는 작품을 통해 나와 타인, 과거와 현재, 상상과 현실, 개인과 집단, 동양과 서양 등 상반된 요소를 균형 있게 넘나들며 재구성합니다. 그가 만들어내는 공간은 개인의 기억이 모여 만든 집단의 역사이기도 합니다. 새로운 환경에서 문화와 개인의 충돌과 대면을 그려내면서도 작품을 통해 융합과 혼성을 이뤄내는 것, 아티스트 서도호가 해낸 역할입니다. ■ with ARTINPOST

  • Installation view of <Do Ho Suh: Passage> at the Contemporary Arts Center

    Courtesy the Contemporary Arts Center, ⓒ Tony Walsh.

    Installation view of <Do Ho Suh: Passage> at the Contemporary Arts Center Courtesy the Contemporary Arts Center, ⓒ Tony Walsh.
  • Installation view of <Do Ho Suh: Passage> at the Contemporary Arts Center

    Courtesy the Contemporary Arts Center, ⓒ Tony Walsh.

    Installation view of <Do Ho Suh: Passage> at the Contemporary Arts Center Courtesy the Contemporary Arts Center, ⓒ Tony Walsh.
  • Installation view of <Do Ho Suh: Passage> at the Contemporary Arts Center

    Courtesy the Contemporary Arts Center, ⓒ Tony Walsh.

    Installation view of <Do Ho Suh: Passage> at the Contemporary Arts Center Courtesy the Contemporary Arts Center, ⓒ Tony Walsh.
  • Installation view of <Do Ho Suh: Passage> at the Contemporary Arts Center

    Courtesy the Contemporary Arts Center, ⓒ Tony Walsh.

    Installation view of <Do Ho Suh: Passage> at the Contemporary Arts Center Courtesy the Contemporary Arts Center, ⓒ Tony Walsh.
  • Installation view of <Do Ho Suh: Passage> at the Contemporary Arts Center

    Courtesy the Contemporary Arts Center, ⓒ Tony Walsh.

    Installation view of <Do Ho Suh: Passage> at the Contemporary Arts Center Courtesy the Contemporary Arts Center, ⓒ Tony Walsh.
  • Installation view of <Do Ho Suh: Passage> at the Contemporary Arts Center

    Courtesy the Contemporary Arts Center, ⓒ Tony Walsh.

    Installation view of <Do Ho Suh: Passage> at the Contemporary Arts Center Courtesy the Contemporary Arts Center, ⓒ Tony Walsh.

Profile

서도호

서도호는 마치 유목민 같습니다. 자신이 태어난 서울을 비롯해 런던, 뉴욕 등 세계 곳곳에 머무르며 자신이 지낸 공간을 작업으로 풀어내고 있으니까요. 공간의 물질적인 속성 그리고 그곳에서 은은히 내비치는 유연함을 표현하고자 작가는 속이 훤히 비치는 얇은 천으로 집을 짓습니다. 이렇게 완공된 서도호의 집 안에는 그가 몸담았던 생활 공간뿐 아니라, 개인, 단체 그리고 익명성 사이에서 벌어지는 관계성에 대한 질문 또한 담겨 있습니다.
1962년 서울에서 태어난 서도호는 서울대학교 동양화, 로드아일랜드 디자인학교(Rhode Island School of Design)에서 회화를 그리고 예일대학교(Yale University) 미술대학에서 조소를 공부하는 등 다양한 장르를 수학하였습니다. 국립현대미술관, 리만머핀 갤러리(Lehmann Maupin Gallery), 뉴욕현대미술관(MoMA, Museum of Modern Art, New York), MoMA P.S.1, 타이베이 시립미술관(Taipei Fine Arts Museum), 휘트니미술관(Whitney Museum of American Art) 등에서 전시를 열었으며 ‘베니스 비엔날레(Venice Biennale)’ 참여, 에르메스재단 미술상 수상 등 화려한 이력을 지니고 있습니다.

View more in A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