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SIMG

Highlight #6: 소리, 시간, 음악을 담은 시각예술

일본과 영국, 크로아티아의 새로운 전시

FX Harsono <Voice without a Voice/Sign> 1993-1994

일본, 후쿠오카 <SILENT VOICE>

2014.12.11~2015.3.24_후쿠오카 아시아 미술관

일본 후쿠오카 아시아 미술관에서 ‘소리’를 주제로 한 작품들을 소개하는 전시가 열립니다. 우리 사회에서 만연하는 소통의 부재와 그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들을 토로하고자 기획된 이번 전시는, 서문에서 관람객들에게 이러한 질문을 던집니다. "우리가 슬픔과 분노를 느낄 때 보통 어떻게 반응하나요?, 사람들에게 크게 이야기를 하나요?, 아니면 침묵으로 일관하나요?“ 전시는 이에 따른 대답으로 ”어떤 상황이냐에 따라 반응은 달라질 것”이라고 정의 내립니다.
현대사회에서 인간이 살아가는데 있어 자신의 기분과 마음을 전하며 주고받는 소통과 이해는 필수불가결한 요소입니다. 특히 소통의 기능 중 ‘말’과 ‘소리’는 사람들이 각자의 생각을 전달하기에 가장 편리하면서도 보편적인 도구입니다. 하지만, 사회적 상황 속에서 그 소리가 전해지지 않거나 혹은 특정한 이유로 인해 밖으로 발설할 수 없을 때도 있습니다.

정부가 언론의 자유를 탄압한다거나, 남성 중심적인 사회 속에서 여성이 발언권을 잃는다던가, 아동학대를 받는 아이가 외부와 소통의 부재로 구제를 받지 못하는 일도 발생합니다. 이 전시는 이렇듯 특수한 상황에 의해 억압받거나, 혹은 마음속으로 숨겨야만 했던 마음의 소리를 세상 밖으로 꺼내듭니다.
전시에서 “침묵의 목소리”를 표현하는 작가들로는 FX 하르소노(Harsono), 층 유-친(Tseng Yu-Chin), 나리니 멜라니(Nalini Malani)가 있습니다. 특히 인도네시아 작가 하르소노가 시민들의 요구와 목소리가 정부로 전달되지 않는 상황에 대한 초조함을 표현하기 위해 문자 ‘I’를 밧줄에 묶어, 정부로부터 억압받는 언론의 자유를 나타낸 작품 <Demokrasi (민주주의)>가 전시의 하이라이트라고 할 수 있습니다.

  • Tseng Yu-Chin <I Despise Presumptions>

    2004 Digital slide projection, video Collection: Fukuoka Asian Art Museum

    Tseng Yu-Chin <I Despise Presumptions> 2004 Digital slide projection, video Collection: Fukuoka Asian Art Museum
  • Nalini Malani <Cassandra's Gift 4: Childhood Fears>

    2009 Digital pigment prints on archival Hahnemuhle bamboo paper 44.5×66.1 cm Collection: Fukuoka Asian Art Museum

    Nalini Malani <Cassandra's Gift 4: Childhood Fears> 2009 Digital pigment prints on archival Hahnemuhle bamboo paper 44.5×66.1 cm Collection: Fukuoka Asian Art Museum
  • FX Harsono <Voice without a Voice/Sign>

    1993-1994 Silkscreen on canvas, wood stool, and stamp 143.5×95.5 cm Collection: Fukuoka Asian Art Museum

    FX Harsono <Voice without a Voice/Sign> 1993-1994 Silkscreen on canvas, wood stool, and stamp 143.5×95.5 cm Collection: Fukuoka Asian Art Museum

영국, 런던 <CHRISTIAN MARCLAY>

2015.1.28~4.12_화이트 큐브 버몬지

스위스계 미국인 시각 예술가이자 작곡가 크리스찬 마클레이가 영국 런던에서 개인전을 개최합니다. 1955년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태어난 마클레이는 30여 년간 이미지, 사운드, 소음, 사진, 비디오, 영화의 관계성을 찾으려 시도해왔으며, 시각예술과 오디오를 연결하는 작업에 몰두한 작가입니다.
마클레이는 2011년 제54회 베니스비엔날레에 미국관 대표 작가로 소개됐을 당시, <The Clock>(2010)로 황금사자상을 수상해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습니다. 영화에서 시간과 관계된 부분들을 발췌해 편집하고, 이를 실제 현실 세계와 동시에 24시간 동안 재생되도록 만들어 시간의 순환을 표현한 이 작품은 우리나라 한 사립미술관에서도 소개된 바 있습니다.

2012년 미국 『타임(TIME)』 선정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100인에 선정되기도 한 마클레이는, 이번 개인전에서 회화, 종이작업, 비디오 설치 등 그의 새로운 시리즈를 선보입니다. 또한, 마클레이가 오디오를 자유자재로 다루는 작가인 만큼, 이번 전시는 다양한 전시연계 퍼포먼스를 준비해 관람객들에게 색다른 재미를 선사합니다. 전시 기간 동안 런던 신포니에타(The London Sinfonietta)와 유명 작곡가들이 함께 하는 라이브 퍼포먼스와 사운드 아티스트들이 선보이는 다양한 공연을 만날 수 있습니다. 이 퍼포먼스들은 모두 전시공간에서 이루어지며, 마클레이의 신작 설치작품들에 대한 반응을 표현한 즉흥곡이거나 커미션 음악들로 구성됐습니다. 시각예술과 음악이 한데 어우러진 다원예술의 장이 마련됐습니다.

  • Christian Marclay 2014 Courtesy White Cube

    Christian Marclay 2014 Courtesy White Cube
  • Christian Marclay 2014 Courtesy White Cube

    Christian Marclay 2014 Courtesy White Cube

크로아티아, 자그레브 <DEIMANTAS NARKEVICIUS: DA CAPO>

2015.1.10~2.20_자그레브 현대 미술관(MSU)

크로아티아의 도시 자그레브에서 데이만타스 나르케비치우의 개인전이 열리고 있습니다. 1964년 리투아니아 우테나에서 태어난 나르케비치우는 초창기 조각가가 되기 위한 훈련을 받았지만, 영화와 영상작업으로 대중에게 더 이름을 알린 작가입니다. 작가는 역사 그 자체를 작품의 가장 중요한 소재로 삼아왔습니다. 특히 현대적인 시선으로 역사를 바라보며, 역사의 특정한 순간들을 선별해 작품에 담아냅니다. 영화 작업 안에서 역사의 전환과 반전 등을 묘사하기 위해, 나르케비치우는 역사에서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사건들을 아이러니하게 지적하기도 합니다. 이렇듯 역사적 사건들을 선별하는 과정은 그가 역사라는 개념 자체와 역사의 흐름 속에서 발생한 특정 현상들을 이해하는데 실질적인 도움을 주었다고 합니다.
이번 전시의 제목인 ‘다 카포(Da Capo)’는 음악과 오페라에서 발췌한 이탈리아 언어의 한 표현입니다. 음악 연주에서 ‘처음부터’라는 의미로 사용되며, 이 표시가 적힌 곳에서부터 시작해 다시 악보의 맨 처음으로 되돌아가 반복해 연주하라는 뜻입니다.

작가는 이 표현이 가진 기존의 의미를 그대로 가져와, 비디오 안에서 반복되는 동작에 대한 힌트를 줍니다.
전시는 나르케비치우가 국제적인 작가 반열에 이름을 올리기까지 한 몫 한 주요 비디오 작품들을 대거 선보이며 관람객의 관심을 사로잡습니다. 또한, 그의 초창기 조각 시리즈들과, 최근 주목하고 있는 사운드 설치작업을 함께 소개하는 자리로 마련됐습니다. 전시에서 주목할 만한작품으로는 그가 크로아티아에서 처음 선보이는 오디오 작업 <Sad songs of War>으로, 이는 작가의 가장 최신작이기도 합니다. 초기작에서부터 신작에까지, 현재 리투아니아의 수도 빌뉴스에 거주하며 활발히 활동하고 있는 나르케비치우의 작품을 만나볼 수 있는 기회입니다. ■ with ARTINPOST

  • <Holy War (Sveti rat)>

    1996

    <Holy War (Sveti rat)> 1996
  • <His-story (Njegova priča)>

    1998

    <His-story  (Njegova priča)> 1998
  • <The Dud Effect (Učinak neuspjeha)>

    2008

    <The Dud Effect (Učinak neuspjeha)> 2008
  • <The Head (Glava)>

    2007

    <The Head (Glava)> 2007
  • <Disappearance of a Tribe (Nestanak plemena)>

    2005

    <Disappearance of a Tribe (Nestanak plemena)> 2005

View more in A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