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SIMG

Highlight #18: 국경, 시대, 장르를 가로지르는 예술

르퓌생트레파라드, 베를린, 산탄데르로 떠나는 아트 바캉스

<Boxes of Full Air> 2015 Corten steel 3.66×6.10×15.24mt

프랑스, 르퓌생트레파라드 <SEAN SCULLY_DIFFERENT PLACES, CHÂTEAU LA COSTE, FRANCE>

2015.7.5~10.31_샤토 라 코스테(Chateau la Coste)

션 스컬리(Sean Scully)의 주요 회화와 야외조각을 선보이는 전시가 열리고 있습니다. 1945년 아일랜드 더블린에서 태어난 스컬리는 영국의 저명한 예술상 터너상 후보에 두 차례나 오를 정도로 명성이 자자한 작가로 현재 미국에서 거주하며 활발한 활동을 펼치고 있습니다.
스컬리의 대표작은 마티에르가 풍부한 추상화 시리즈입니다. 그는 모로코 지역 특산물인 패브릭이 지닌 줄무늬 패턴에서 영감을 얻은 기하학적인 패턴을 이용한 작품을 선보이는데요. 물감이 마르기 전 여러 차례 덧칠하는 방식 또한 그의 대표 스타일입니다.

이 전시는 2002년부터 현재까지 그가 제작한 유화 13점을 전시합니다. 뿐만 아니라 드로잉, 수채화, 조각까지 넘나들며 그의 풍부한 예술세계를 탐구합니다. 특히 대규모 스타일과 정교하고 섬세한 작업 방식으로 구현한 외부 설치가 관람객의 눈길을 사로잡습니다. 스컬리를 회화작가로만 알고 있는 이들을 위해, 이번 전시가 스컬리의 다양한 작업 스타일을 소개하는 자리가 되리라 기대됩니다.
한편 스컬리의 조각과 회화의 공통주제는 풍경에서 찾아낸 자연적인 요소입니다. 하늘, 땅, 바다 등을 추상화해 드러내는 것이지요. 그런 의미에서 이 전시는 작품만으로도 프랑스의 작은 마을에서 휴가를 보내는 듯한 간접 경험의 기회를 제공합니다. 아름다운 프랑스 풍경과 예술작업을 연결한 작가가 미술관 내부로 들여온 자연을 탐구해봅시다.

  • Installation view at Chateau la Coste

    Installation view at Chateau la Coste
  • <Arles Nacht Vincent>

    2015 Oil on linen, three panels 160×160cm

    <Arles Nacht Vincent> 2015 Oil on linen, three panels 160×160cm
  • <Boxes of Full Air>

    2015 Corten steel 3.66×6.10×15.24mt

    <Boxes of Full Air> 2015 Corten steel 3.66×6.10×15.24mt

독일, 베를린 <EXHIBITING KOREA>

2015.6.25~10.18_훔볼트 랩 다렘, 아시아문화박물관(Humboldt Lab Dahlem, Museum für Asiatische Kunst)

독일에서 오인환, 이재용, 성민화, 신미경, 최재은 등 한국 작가 5인을 초청한 <한국전>이 관람객을 맞이하고 있습니다. 고미술을 다루는 동아시아박물관이 현대 미술가들을 모아 소개한 이유가 무엇일까요?
베를린 시내에는 미술관들이 군집해 있어 ‘미술관 섬(Museum islands)’으로 불리는 미테 지역이 있습니다. 박물관은 2019년 이곳으로 이전을 앞두고 있기도 하지요. 그에 앞서 한국소장품을 활용한 색다른 시각과 방식의 전시를 만들고자 작가들을 초청한 것입니다.

전시는 큐레이터 우타 라만 슈타이너트(Uta Rahman-Steinert)와 참여작가들이 던진 다음과 같은 질문에서 출발합니다. “고미술을 다루는 박물관 공간이 통상적인 민속, 전통문화의 이미지를 탈피하면서도 전통 고유의 색을 그대로 보여줄 수 있는 작업을 활용해서 새로운 공간을 창조할 수 있을까?” 이를 실현하기 위해 사진, 영상설치, 회화, 조각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는 작가들이 모여 한국 전통미술을 현대적으로 해석하고 새로운 발상과 시도를 합니다. 베를린 기반 예술가 성민화의 드로잉과 이재용의 사진 연작, 오인환의 비디오, 18세기 조선 시대 화가 신윤복의 <연당 여인>을 복제해 전통음악을 가미한 최재은, 마지막으로 런던에서 거주하며 활동하는 신미경은 비누를 재료로 섬세하게 제작한 자기들을 진열합니다.
마지막으로 전시는 한국적인 전통과 아름다움을 새롭게 인식할 수 있는 자리를 제공합니다. 작가들이 현대미술의 시각으로 고미술을 다양하게 해석한 작품들을 만나보세요.

  • Meekyoung Shin <Translation>

    ⓒ Humboldt Lab Dahlem. Photo: Uwe Walter

    Meekyoung Shin <Translation> ⓒ Humboldt Lab Dahlem. Photo: Uwe Walter
  • Jaeyong Rhee <Memories of the Gaze: Relics>

    ⓒ Humboldt Lab Dahlem. Photo: Uwe Walter

    Jaeyong Rhee <Memories of the Gaze: Relics> ⓒ Humboldt Lab Dahlem. Photo: Uwe Walter
  • Jaeeun Choi <Woman by a Lotus Pond>

    ⓒ Humboldt Lab Dahlem. Photo: Uwe Walter

    Jaeeun Choi <Woman by a Lotus Pond> ⓒ Humboldt Lab Dahlem. Photo: Uwe Walter

스페인, 산탄데르 <SOL LEWITT_17 WALL DRAWINGS 1970-2015>

2015.7.18~2016.1.10_보틴 파운데이션(Botín Foundation)

스페인 항구도시 산탄데르(Santander)에서 솔 르윗(Sol LeWitt)의 환상적인 색채로 가득한 거대 규모 드로잉을 소개하는 자리가 마련되었습니다. 1928년 미국 출신으로 2007년 사망한 르윗은 1960년대 개념미술과 미니멀리즘의 시작을 이끌었는데, 특히 이론적인 원리와 단순화한 선과 형태로 잘 알려진 조각가입니다.
르윗은 형태, 크기, 색채를 끊임없이 다양화하고 변주하며 특유의 드로잉 스타일을 구축해 왔습니다. 특히 수학적인 방법을 적용해 드로잉을 마치 그래픽디자인 같은 미감을 지닌 형상으로 탄생하게 한 것이 특징입니다. 전시에서 선보이는 동일한 형태와 색채가 반복된 기하학 조각들은 흥미로운 패턴을 자랑했고, 색연필, 목탄, 인디언 잉크 등 다양한 재료를 통해 탄생한 색다른 질감과 무늬, 색감이 전시장 벽면을 가득 채우고 있습니다.

솔 르윗 작품의 기본이 되는 드로잉을 선보이는 이번 개인전은 “아이디어는 곧 예술품을 만드는 수단이며 기계다”라는 그의 신념과도 맞아 떨어집니다. 그의 예술 창작과정과 스타일을 전형적으로 드러내는 작품 17점을 관람객에게 소개하는 이번 전시를 통해 시대를 초월하는 그의 작품의 산 증인이 될 수 있습니다. 그의 개념적인 작품을 이해하고 친숙해지고 싶다면, 전시에서 선보이는 출판물과 프린트 역시 도움이 될 것입니다. 르윗의 작품을 관람하며 개념미술과 미니멀리즘이 지닌 의미와 미술사적 영향에 대해 탐구해보는 건 어떨까요? ■ with ARTINPOST

  • <Wall Drawing 386>

    India ink washes Environmental dimensions First drawn by: Julie Jarvis, Renee Milliken, Anthony Sansotta First installation: Carol Taylor Art, Dallas, Texas January 1983 Courtesy of the Estate of Sol LeWitt Photo credit: Photo by Alessandro Zambianchi Courtesy Massimo De Carlo, Milan/London

    <Wall Drawing 386> India ink washes Environmental dimensions First drawn by: Julie Jarvis, Renee Milliken, Anthony Sansotta First installation: Carol Taylor Art, Dallas, Texas January 1983 Courtesy of the Estate of Sol LeWitt Photo credit: Photo by Alessandro Zambianchi Courtesy Massimo De Carlo, Milan/London
  • <Wall Drawing 413>

    Color ink wash First installation: Moderna Museet, Stockholm First drawn by: David Higginbotham, Jo Watanabe March 1984 Courtesy of the Estate of Sol LeWitt Photo credit: MassMoCA. Kennetfick

    <Wall Drawing 413> Color ink wash First installation: Moderna Museet, Stockholm First drawn by: David Higginbotham, Jo Watanabe March 1984 Courtesy of the Estate of Sol LeWitt Photo credit: MassMoCA. Kennetfick

View more in A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