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SIMG

Art & Technology #21:
시각을 넘어선 감각의 활용

사운드아트의 흐름과 분류

Sora Kim Installation view of <From knee to chin> 2016 MMCA
Installation view of <Is It Noise?> 2014 SeMA

‘소리’를 직접 활용하거나, ‘듣는 것’을 주제이자 재료 및 수단으로 삼는 예술이 있습니다. 그 무궁무진한 영역과 개념만큼이나 다채로운 예술실험 형태로 존재하며, 형식의 다양성 때문인지 개념을 쉽사리 정의하기는 어렵습니다. 타 장르 간 융복합/하이브리드 예술이 성행하는 현시대에는 예술을 하나의 장르로 국한하거나 범주화하기 어렵고, 정확한 시작점 혹은 시기를 짚어 보기가 쉽지 않습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사운드아트는 어느 지점에서는 음악으로, 어느 지점에서는 갤러리 예술로 구분 지어져야만 하며, 그 경계가 흐릿하다”는 글 작가 세스 킴-코헨(Seth Kim-Cohen)의 언급처럼, 시각예술과 음악 사이 경계선 어딘가 존재하는 특성을 보이기 때문입니다.

고정할 수 없는 자유로움

Christina Kubisch <Copper Web> 2015 elektrisches Kabel, Lautsprecher, sechskanalige Installation, site specific installation at Galerie Mario Mazzoli, Berlin 2015

하지만 아티스트이자 작곡가 로버트 워비(Robert Worby)의 세 가지 분류법은 사운드아트에 관한 이해를 도와줍니다. 워비는 첫째로 음악에 뿌리를 두고 있는 것, 둘째로 조각, 설치, 퍼포먼스, 개념미술 등 시각예술과 관련 있는 것, 마지막으로 언어, 시, 텍스트, 말, 목소리와 연관 있는 것으로 소리예술을 나눕니다. 첫 번째 분류는 실험음악을 예로 들 수 있겠고, 마지막은 1940년대 후반 프랑스 문학운동 용어로, 언어가 지닌 뜻보다 문자가 모여서 만들어내는 음향 효과를 중요하게 여기는 ‘문자주의(Lettrism)’와 연결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두 번째 분류인 시각예술적 측면에서 음성예술을 살피고자 합니다. 눈으로 보는 감각을 넘어선 귀로 듣는 감각을 쓰며 ‘소리예술’이나 ‘오디오아트(audio art)’라고도 일컫는 사운드아트는 눈앞에 드러나지 않는 소리만을 활용한 작품도 있지만 대부분 설치나 조각, 퍼포먼스와 병합한 형식을 지니곤 합니다. 그래서 ‘사운드 설치(sound installation)’나 ‘사운드 조각(sound sculpture)’, ‘사운드 퍼포먼스(sound performance)’로 불리기도 합니다. 이러한 병합적 성격으로 총체적 예술과 유사한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으며, 또한, 소리를 활용한 이 예술은 미래주의, 다다, 플럭서스, 바우하우스 등 현대미술사조와 그 역사를 같이합니다.

시각예술적 측면의 발달과정

John Cage <Extended Lullaby> 1994 12 mecanismes de boite a musique Reuge de 36 notes Twelve 36-note Reuge music box mechanisms 17,8 x 182,9 x 12,7 cm<br>John Cage, vue d’installation, Fondation Louis Vuitton, Paris, espace interstitiel (2eme etage), Accrochage 3 : Pop et Musique a partir du 3 juin 2015.: Photo Fondation Louis Vuitton / Marc Domage ⓒ The John Cage Trust

특히 사운드아트를 논할 때, 1885년 이탈리아에서 태어난 미래주의 예술가이자 노이즈 음악 실험 작곡가 루이지 루솔로(Luigi Russolo)를 빼놓을 수 없습니다. 당시 다방면의 아티스트들이 모인 미래주의자들 중 1910년대 초 음악적 영감을 가미한 작업을 주로 선보인 루솔로는 미래주의 성명서 「L'Arte dei Rumori(The Art of Noises)」(1913) 발표를 계기로 미술에 음악을 도입합니다. 이후 이 성명서를 책 형태로 발전시키기도 했습니다. 루솔로는 우고 파티(Ugo Patti)와 함께 소음을 내는 기계 ‘intonarumori’를 발명, 1913-14년에는 이 장치를 이용해 그의 첫 미래주의 콘서트를 열었습니다. 당시로는 난해한 도전이었음에도 새로운 시도와 높은 완성도 덕택인지 청중의 열광적인 호응을 얻었습니다. 그는 악단을 조직해 파열음, 잡음, 연속음 등 발생 가능한 각종 소음을 발표하기도 하고, 1921년에는 다른 퓨처리스트들과 여러 차례 음악회를 개최하며 각양각색의 방식으로 시각예술에 청각적 감각을 직접 접목했습니다.

Bruce Nauman <Still shot from Dance or Exercise on the Perimeter of a Square (Square Dance)>

루솔로에 이어 1950년대 활동한 존 케이지(John Cage)는 소리를 퍼포먼스에 자연스럽게 스며들게 하고, 미디어를 통해 소리가 지닌 가능성을 확장한 예술가이자 작곡가입니다. 그가 사운드아트의 발판을 다졌다고 보아도 과언이 아닙니다. 처음에는 전통 서양음악으로 커리어를 시작한 케이지는 이후 방향성을 달리해, 당시로는 파격적인 장르를 개척합니다. 음악, 시각예술, 무대예술 간의 경계를 허물거나, 소리가 존재하지 않는 음악을 만드는 등 음향을 활용해 예술 영역을 확장하며 주요한 업적을 쌓아나간 것입니다.
하지만 이 시기까지만 해도 소리예술은 실험음악이나 퍼포먼스의 한 갈래라는 인식이 강합니다. 이후 이 예술이 박차를 가하는 시기가 찾아오는데, 1960년대 말 개념미술 활성화와 흐름을 같이 하면서부터입니다. 1970년대 활동한 개념미술가 브루스 나우만(Bruce Nauman)은 비디오아트, 설치미술 외에도 음을 활용한 예술을 다수 선보였고, 이 시기부터 소리를 활용한 전시가 다수 열리기 시작하며 한 발짝 도약하는 계기를 마련합니다. 1970년 미국 샌프란시스코 MoCA(The Museum of Conceptual Art, San Francisco)에서 9명의 예술가를 모아 과학기술과 결합한 갖가지 일상적 소음을 선보인 <Sound Sculpture As>전, 1979년 Los Angeles Institute of Contemporary Art에서 조각과 공간, 건물 등에 음향을 접목한 작업을 대거 소개한 <Sound>전 등을 통해 연이어 다양한 기술을 업은 사운드아트가 대중을 만납니다. 이러한 전시들을 거치며 점차 미디어아트로 분류되며 더욱 활발한 움직임을 보이게 됩니다.

창작 수단이거나 목적이거나

Sora Kim Installation view of <From knee to chin> 2016 MMCA

1990년대에 와서는 모나 하툼(Mona Hatoum)이 벽을 세워 비디오장치를 설치한 <Corps etranger>(1994)를 통해 관람객에게 시각적 효과를 제공할 뿐 아니라 심장박동과 숨소리를 들을 수 있게 합니다. 하지만 이 작품은 하툼이 몸에 대한 관심을 드러내기 위해 인간 신체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수단으로 활용한 예입니다. 그렇다면 매체이자 수단 이상으로 소리라는 본질 자체에 초점을 맞춘 작가로 다수의 영화를 줄거리가 아닌 소리 중심으로 엮어, 귀로 듣는 영화를 만든 크리스찬 마클레이(Christian Marclay)에게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는 지난해 화이트 큐브 버몬지(White Cube Bermondsey)에서 소리가 지닌 모든 형태를 담은 전시 <The art of sound>를 열어, 음악, 소음, 리듬을 활용한 작품을 선보이며 소리의 본질을 파헤칩니다. 최근 사운드아트를 대표하는 일본인 전자음악 작곡가이자 아티스트 료지 이케다(Ryoji Ikeda) 또한 초음파, 주파수 등의 소리가 지니는 본질적인 특성에 주된 관심을 두고, 스피커가 내는 전자음과 그에 반응하는 모니터를 활용한 작품 등을 제작하며 시각과 청각적 미디어를 동시에 활용합니다. 그는 나아가 소리의 물리적 특성, 인간지각과의 관계, 음악에서 발생 가능한 수학적 유추 등을 탐구하기 위한 도구로써 컴퓨터와 디지털 테크놀로지를 자유자재로 다루며 사운드 엔지니어링 및 작곡 분야에서도 활약하고 있습니다.

Installation view of <Is It Noise?> 2014 SeMA

이처럼 많은 예술가가 소리를 접목한 예술 발달에 힘쓸 뿐 아니라, 1994년 생겨난 복합예술 페스티벌 ‘SONAR Barcelona’는 올해도 성황리에 23번째 에디션(6월)을 개최하는 등, 최근까지 다양한 현대음악과 뉴미디어아트 협업 등 사운드아트만이 구사할 수 있는 독특한 방식으로 발전을 거듭하고 있습니다. 소리가 지닌 틀을 깨고, 기존 예술 형식을 넘어서며 청각을 도입한 예술은 청각만이 아닌 다른 감각을 깨우거나 오롯이 소리에만 집중하게 하는 등 온갖 방식으로 시각예술에 도입됩니다. 이제는 청각을 무기로 한 예술이 눈으로 보는 감상 이상으로 더욱 체험적이고 공감적인 성격의 예술 분야를 선도하기를 자처하며, 기존 감상법이 지닌 감각의 경계를 허무는 소리예술이 독보적으로 개척해 나갈 길을 기대합니다. ■ with ARTINPOST

  • John Cage <Extended Lullaby> 1994

    12 mecanismes de boite a musique Reuge de 36 notes Twelve 36-note Reuge music box mechanisms 17,8 x 182,9 x 12,7 cm
    John Cage, vue d’installation, Fondation Louis Vuitton, Paris, espace interstitiel (2eme etage), Accrochage 3 : Pop et Musique a partir du 3 juin 2015.: Photo Fondation Louis Vuitton / Marc Domage ⓒ The John Cage Trust

    John Cage <Extended Lullaby> 1994 12 mecanismes de boite a musique Reuge de 36 notes Twelve 36-note Reuge music box mechanisms 17,8 x 182,9 x 12,7 cm<br>John Cage, vue d’installation, Fondation Louis Vuitton, Paris, espace interstitiel (2eme etage), Accrochage 3 : Pop et Musique a partir du 3 juin 2015.: Photo Fondation Louis Vuitton / Marc Domage ⓒ The John Cage Trust
  • Bruce Nauman <Still shot from Dance or Exercise on the Perimeter of a Square (Square Dance)>

    Bruce Nauman <Still shot from Dance or Exercise on the Perimeter of a Square (Square Dance)>
  • Christina Kubisch <Copper Web> 2015

    elektrisches Kabel, Lautsprecher, sechskanalige Installation, site specific installation at Galerie Mario Mazzoli, Berlin 2015

    Christina Kubisch <Copper Web> 2015 elektrisches Kabel, Lautsprecher, sechskanalige Installation, site specific installation at Galerie Mario Mazzoli, Berlin 2015
  • Sora Kim Installation view of <From knee to chin> 2016 MMCA

    Sora Kim Installation view of <From knee to chin> 2016 MMCA
  • Sora Kim Installation view of <From knee to chin> 2016 MMCA

    Sora Kim Installation view of <From knee to chin> 2016 MMCA
  • Installation view of <Is It Noise?> 2014 SeMA

    Installation view of <Is It Noise?> 2014 SeMA
  • Installation view of <Is It Noise?> 2014 SeMA

    Installation view of <Is It Noise?> 2014 SeMA

View more in A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