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SIMG

Art & Technology #29: 빌 핏즈기본스

빛과 공간의 조각가

빛과 공공예술

보스턴 예술단체 뉴잉글랜드 재단(New England Foundation of the Arts)의 제인 프레스턴 (Jane Preston)은 공공예술에서 ‘빛’이 점점 중요한 역할을 차지한다고 말했습니다. 아마도 빛이 공공 영역에 그만큼 다채롭고 화려한 생명력을 부여하기 때문일 것입니다. 빛을 이용한 공공미술의 대표적인 사례로 미국인 작가 빌 핏즈기본스가 있습니다. 그는 오래된 다리 등 도시에 흔히 존재하는 일반적인 건축물에 빛을 첨가해 도시를 빛내는 랜드마크로 바꾸어 놓은 에너지 절약형 LED 작품으로 큰 인기를 얻었습니다.

특히 앨라배마 주 버밍엄 도심 철도공원 인근 18번가 지하도에 설치한 라이트 조각 <LightRails>(2013)은 미국 전역을 흔들었는데, 이 독특한 작업은 도시 경제 개발 기관 ‘REV 버밍엄’의 커미션으로 2013년 6월 27에 첫 선을 보인 조명 설치입니다. 컴퓨터로 조작한 LED 조명 시스템으로 구성한 라이트 아트는 시내 고가도로 아래 북쪽 1번가와 공원 동쪽 문을 연결하는 통로를 휘황찬란한 색채로 새롭게 탈바꿈시켰습니다. 이 프로젝트가 당시 공공미술에서 빛에 대한 중요성과 관심을 촉발했다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흉물에서 랜드마크로

1931년에 건설된 이 아르 데코 지하도는 앨라배마 시내 중심부와 철도공원이라는 새로운 도시 공간을 잇는 중요한 거점입니다. 하지만 몇 년에 걸쳐 어둡고 위험한 지역으로 알려져 있었습니다. 도시는 이 다리가 그러한 오명을 벗고 많은 사람이 지나다닐 수 있는 활기찬 보행로로 바꾸기 위한 해결책으로, 조각가이자 대중 예술가인 핏즈기본스에게 커미션 작업을 제안했습니다. 그는 LED 수백 개를 이용해 잿빛 시멘트일 뿐이었던 다리 아래를 화려한 빛으로 물들였는데, 다리는 다양한 조명패턴을 지닌 덕에 수 만 가지 컬러로 시시때때로 변신하며 언제 방문하느냐에 따라 각기 다른 경관을 제공합니다. 핏즈기본스는 도시 가속화 때문에 점점 삭막한 도시에 밝고 매력적인 불빛을 끌어와 생명력을 불어넣고자, 일반적인 구조물에 라이트 아트를 첨가합니다. 아티스트의 손을 거쳐 재조명된 구조물은 다채로운 인공 빛을 품에 안고 누구나 쉽게 다가와 즐길 수 있는 주요 거점이 됩니다. 핏즈기본스는 지하도처럼 사람들이 그다지 중요한 공간으로 인식하지 않는 시설에 예술로 변화를 가해, 모두가 지나쳐가는 통로일 뿐이었던 지하도가 그 자체로 목적지가 되도록 만든 것입니다.

네온 조각의 시작

핏즈기본스는 30년 이상 공공조각과 설치를 선보인 미국 대표 공공예술가입니다. 미국은 물론 아이슬란드 레이캬비크, 핀란드 헬싱키, 독일 브라운슈바크, 스웨덴 스톡홀름, 영국 요크셔 등 세계 주요 도시에서 30회가 넘는 공공예술 프로젝트와 공연을 선보였습니다. 텍사스 주 입법부는 2012년 제82차 입법회의에서 그를 공식 주 예술가로 발표하기도 했습니다. 그가 처음부터 빛을 다룬 공공미술을 소개한 것은 아닙니다. 원래 회화를 전공한 그였지만 ‘네온’이라는 소재를 접한 이후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게 됩니다. 처음엔 자신의 회화작품에 네온 스트립을 붙이거나 하면서 점차 네온에 푹 빠지게 됐고, 이후 네온으로 조각을 만드는 발판이 됐습니다. 점차 빛이 만들어내는 다양한 스펙트럼에 매료된 그는 환경의식을 기반으로 한 접근법을 통해 컴퓨팅 시스템을 바탕으로 한 LED 조명을 사용하기에 이릅니다. ‘빛’을 전문으로 다루는 미국 매거진 『enLIGHTenment』(2016)는 그런 그를 빛의 조각가이자 공간의 조각가로 명명하게 됩니다. 빛과 공간이 그의 가장 주된 재료이기 때문입니다. 금속 조각과 컴퓨터 제어 LED 시스템을 주로 사용하는 그의 프로젝트는 음울하고 어두운 공간을 새롭고 창조적이며 예상치 못한 방식으로 활성화하곤 합니다.

잿빛 도시에 화사한 색채를 더하다

필립스 컬러 키네틱스(Philips Color Kinetics)의 도시 혁신 매니저 수잔 세이팅거(Susanne Seitinger)는 빛을 이용한 공공미술에 관해 “이러한 유형의 설치와 잠재력에 대한 인식이 커지고 있습니다. 이것은 도시 디자이너와 계획가들에게는 큰 주제입니다.”라고 밝혔습니다. 그만큼 예술가의 아이디어와 기술력의 합일은 예술의 경계를 무한대로 확장했습니다. 빛을 이용해 다양한 형식과 방향으로 뻗어 나가는 테크놀로지아트는 공공미술에 필연적입니다. 특히 평소 특별할 것 없거나 혹은 흉물스럽기만 했던 잿빛 건물이 눈부시게 반짝이는 빛으로 변화하는 모습을 목격하는 건 일반적인 대중에게는 색다른 경험이 될 것입니다. 이러한 점에서 핏즈기본스의 작품이 보통 현대미술이 지닌 다소 어려운 접근법이 아닌 감상자가 직접 눈으로 보고 느낄 수 있는 대중적인 표현형식을 지닌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핏즈기본스는 앞으로도 더욱 관람자와 상호작용하는 인터랙티브 공공미술을 만들어 나가고자 작업에 매진하고 있습니다. 그의 작품이 반복되는 일상의 무미건조함에 지친 누군가에게 새로운 생명력과 활력을 되찾아 주리라 믿습니다. ■ with ARTINPOST

  • <Skywall> 2005

    Houston, TX. Perforated aluminum and computer programmed LED light systems. Commissioned by City of Houston.

    <Skywall> 2005 Houston, TX. Perforated aluminum and computer programmed LED light systems. Commissioned by City of Houston.
  • <Woodlawn Bus Stop> 2010

    City of San Antonio, TX, recycled steel, native shrubbery.

    <Woodlawn Bus Stop> 2010 City of San Antonio, TX, recycled steel, native shrubbery.
  • <LightRails> 2013

    Underpass in downtown Birmingham, Alabama. Commissioned by REV Birmingham, a collection of Birmingham foundations.

    <LightRails> 2013 Underpass in downtown Birmingham, Alabama. Commissioned by REV Birmingham, a collection of Birmingham foundations.
  • <LightRails> 2013

    Underpass in downtown Birmingham, Alabama. Commissioned by REV Birmingham, a collection of Birmingham foundations.

    <LightRails> 2013 Underpass in downtown Birmingham, Alabama. Commissioned by REV Birmingham, a collection of Birmingham foundations.
  • <LightRails> 2013

    Underpass in downtown Birmingham, Alabama. Commissioned by REV Birmingham, a collection of Birmingham foundations.

    <LightRails> 2013 Underpass in downtown Birmingham, Alabama. Commissioned by REV Birmingham, a collection of Birmingham foundations.
  • <LightRails> 2013

    Underpass in downtown Birmingham, Alabama. Commissioned by REV Birmingham, a collection of Birmingham foundations.

    <LightRails> 2013 Underpass in downtown Birmingham, Alabama. Commissioned by REV Birmingham, a collection of Birmingham foundations.
  • <Centro Chroma Tower> 2015-16

    (an eighty foot interactive light sculpture tower) Commissioned by VIA, San Antonio’s bus and streetcar department.

    <Centro Chroma Tower> 2015-16 (an eighty foot interactive light sculpture tower) Commissioned by VIA, San Antonio’s bus and streetcar department.
  • <Centro Chroma Tower> 2015-16

    (an eighty foot interactive light sculpture tower) Commissioned by VIA, San Antonio’s bus and streetcar department.

    <Centro Chroma Tower> 2015-16 (an eighty foot interactive light sculpture tower) Commissioned by VIA, San Antonio’s bus and streetcar department.
  • <Kinetic Skyline> 2016

    The Bank of America Plaza Building in Downtown San Antonio. Private Commission.

    <Kinetic Skyline> 2016 The Bank of America Plaza Building in Downtown San Antonio. Private Commission.
  • <Kinetic Skyline> 2016

    The Bank of America Plaza Building in Downtown San Antonio. Private Commission.

    <Kinetic Skyline> 2016 The Bank of America Plaza Building in Downtown San Antonio. Private Commission.
  • <Day Star Archway> 1999

    Reclaimed B.A.C. 10-11 wings, perforated aluminum, computer programmed LED light systems. City of San Antonio, TX. San Antonio International Airport, San Antonio, TX

    <Day Star Archway> 1999 Reclaimed B.A.C. 10-11 wings, perforated aluminum, computer programmed LED light systems. City of San Antonio, TX. San Antonio International Airport, San Antonio, TX

Profile

미국 출신 공공미술가 빌 핏즈기본스는 테네시 대학교(the University of Tennessee)와 세인트루시 워싱턴대학교(Washington University)에서 수학했습니다. 녹스빌 테네시 대학교(The University of Tennessee)는 2010년 그에게 우수 동문상을 수여하기도 했습니다. 1979년 미주리 주 세인트루이스 라우메이어 조각공원(Laumeier Sculpture Park) 큐레이팅을 맡았고, 1985년부터 1988년까지 알래스카 앵커리지 시각예술센터 조각 디렉터로 임명됐습니다. 2002년부터 2013년에 걸쳐 블루스타 현대미술관(Blue Star Contemporary Art Museum (2002-2013)의 이그제큐티브 디렉터를 역임하는 등 작가 활동뿐 아니라 기획력 또한 뽐냈습니다. 한편, 1988년 성안토니오 아트인스티튜트(San Antonio Art Institute) 조각과 학과장을 역임했고, 성안토니오 트리니티 대학교(Trinity University)에서 겸임교수로 근무했습니다. 1993년에는 부다페스트의 헝가리예술아카데미(Hungarian Academy of Art)에서 강의했습니다. 그는 국제조각센터(International Sculpture Center) 이사회 멤버이며, 2011년 설립한 텍사스 조각 그룹(Texas Sculpture Group, TSG) 창립 멤버이기도 합니다.

View more in A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