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 Insight #24: 프란시스 모리스
테이트 모던(Tate Modern) 미술관 관장


프란시스 모리스(Frances Morris)는 1987년 큐레이터로, 테이트와 첫 인연을 맺었습니다. 그리고 2016년 1월, 최초의 ‘영국인’이자 ‘여성’이라는 수식어를 안고 새로운 디렉터 자리에 오르게 됩니다. 그동안 테이트가 현대미술의 최전선에 이름을 올릴 수 있도록 주요한 공로를 세운 것을 인정받은 결과입니다. 미술관에 새로운 이미지가 필요할 때마다 참신한 기획과 도전으로 적절한 기회를 만들어낸 것이 주효했습니다.
그는 2007년 루이스 부르주아(Louise Bourgeois), 2012년 쿠사마 야요이(Yayoi Kusama)에 이어 2015년엔 아그네스 마틴(Agnes Martin)까지 주요 작가의 대규모 회고전을 성공적으로 치른 베테랑 큐레이터이기도 합니다. 주어진 역할에 충실하고, 적재적소에서 자신의 강점을 어필해온 모리스. 이제 하나의 전시나 소장품이 아닌 거대한 현대미술관을 진두지휘하게 된 그를 만나 포부와 계획에 대해 들어보았습니다.
테이트 모던의 가장 중요한 역할은
더 많은 사람들이 시각 미술과 접촉할 수 있도록 돕고,
그 과정에서 새로운 방식을 찾는 것입니다.
- 프란시스 모리스 -

Q. 테이트 모던 신관 개관 소식은 한국 현대미술계에서도 큰 반향을 일으켰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테이트 모던을 방문하기 위해 런던을 찾기도 했는데요. 이번 개관에 대해 더 자세히 말씀해주실 수 있을까요?
개관 후 멋진 한 주를 보냈습니다. 테이트 모던이 우주의 중심인 것처럼 느껴지는 순간이었어요. 국적, 연령, 언어를 불문하고 세계 곳곳에서 방문객들께서 미술관을 찾아 주셨습니다.
Q. 테이트 모던의 관장으로서, 신관 개관의 하이라이트는 무엇이었다고 생각하시는지요? 개관식 전 중점적으로 고려한 사항은 무엇인지, 그러한 고려가 어떠한 결과로 이어졌는지도 궁금합니다.
런던에 오래된 미술관이 아닌 아름답고 우아한 신축 현대미술관이 들어선다는 소식을 축하하는 떠들썩한 분위기가 있었죠. 어떤 면에서는 이러한 신과 구의 완벽한 조합은 최신 작품부터 100년 전의 작품까지 아우르는 미술관의 다양한 소장품에서도 잘 나타납니다.

Q. 신관 개관으로 달라진 점은 무엇이 있나요? 미술관 공간은 어떻게 변화했습니까?
기존 건물인 보일러 하우스(Boiler House)는 3개의 층에서 신축 스위치 하우스(Switch House)로 연결됩니다. 방문객들이 두 건물 사이를 오가는 광경은 환상적이죠. 지하에 위치한 탱크(Tanks)를 비롯하여, 새로 마련된 매력적인 공간들도 많습니다. 호기심을 자아내거나 환영받는 느낌을 주는 공간에서 사람들과 어울리거나 상호작용하고 학습하며 토론할 수 있습니다. 조용한 사색을 위한 아름다운 갤러리들도 있죠. 신관을 증축하면서 미술관 큐레이터들은 훌륭한 선정위원회의 도움을 받아 소장품도 증설했습니다. 국제적인 미술품과 여성 작가의 작품, 멋진 신작 설치 작품들을 더 보실 수 있습니다. 현재 전시 중인 훌륭한 작품들의 75%는 2000년부터 소장한 작품들입니다.

Q. 테이트 모던의 새로운 관장으로서, 21세기에 테이트 모던이 갖는 가장 중요한 역할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는지 듣고 싶습니다.
현재 테이트 모던의 가장 중요한 역할은 더 많은 사람들이 시각 미술과 접촉할 수 있도록 돕고, 그 과정에서 새로운 방식을 찾는 것입니다. 지금은 일방적인 전달의 시대라기보다는, 사람들로 하여금 미술관에서 시간을 보내며 의견을 공유하고 직접 참여할 수 있도록 권하는 시대입니다. 저희가 갖춘 뛰어난 소장품들과 수많은 새 관객들을 연결하는 촉매제 역할을 테이트 모던이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Q. 테이트 모던의 미래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는지요?
앞으로 몇 년간의 테이트 모던에 대한 저의 비전은 지금보다도 더 국제적이고 보다 다양성을 갖춘 미술관입니다. 전통적인 현대 미술의 맥락을 지속적으로 확장시켜 전 세계의 다양한 관점들을 망라하고자 합니다. 예술을 신선하고 흥미로운 방식으로 바라볼 수 있는 엄청난 기회입니다. 예술품을 전시할 수 있는 공간이 훨씬 넓어진 지금, 모든 방문객들이 테이트 모던에서 자신들이 가장 좋아하는 작품들을 볼 수 있다는 점에서도 기쁘지만, 새로이 접하는 놀라운 작품들도 준비되어 있으며, 미래 예술계의 아이콘이 될 작품들도 접할 수 있을 것입니다.
-
Q. 터바인 홀(Turbine Hall)에서 전시 중인 필립 파레노(Philippe Parreno)의 작품과 이번 프로젝트 및 설치 작품을 위한 파레노와 다분야 전문가들의 협업에 대해 말씀해주실 수 있을까요?
필립 파레노는 미래를 내다보는 예술가입니다. 파레노는 놀라운 신기술과 자신의 아이디어를 결합해 훌륭한 예술 작품을 만들죠. 그의 상상력에는 끝이 없습니다. 문학, 드라마, 필름, 과학, 음악, 퍼포먼스에 관심을 갖고 있으며, 다른 사람들의 재능을 매우 협력적인 방식으로 이끌어냅니다. 이번 프로젝트는 예술가 한 명의 작품이지만, 파레노는 독특한 능력과 경험들을 망라하여 작품으로 만들어 내는 감독에 가까운 역할을 합니다. 현대미술의 흥미로운 점 중 하나는 사람들이 작품으로부터 즉각적인 반응을 기대하는 경우가 많다는 사실입니다. 그런데 이 프로젝트는 사람들이 작품을 훨씬 오랫동안 감상하며 받아들이도록 합니다. 사람들이 앉을 수 있도록 바닥에 카펫이 깔려 있으며, 하루 중 어떤 시간대에 와도 좋고, 10분 동안 있어도 한 시간을 머물러도 괜찮습니다. 방문객들의 경험은 저마다 완전히 다를 것입니다. 하나의 패턴이나 리듬이 설정된 작품이 아니라 시간이 지나며 진화하고 변화하기 때문에 작품을 감상하며 유일무이한 경험을 할 수 있습니다.
-
Q. 테이트 모던은 파트너십을 통해 기업들과 협력하고 있습니다. “현대 커미션 2016: 필립 파레노” 전이 대중과 예술가들에게 어떤 의미로 다가갈 것이라고 생각하시는지요?
테이트 모던은 파트너십을 통해 우리 시대의 위대한 예술가들과 터바인 홀에서 멋진 프로젝트를 진행할 수 있었습니다. 터바인 홀 전시를 맡은 예술가들은 매번 예상하지 못한 작품을 내놓았습니다. 저는 그 점이 멋지다고 생각합니다. 터바인 홀과 같은 전시 공간은 전 세계에 하나뿐이기 때문에, 이 공간을 맡은 예술가는 누구든 작업 방식에 변화를 주게 되죠. 현대자동차는 실험과 도전을 지지하는 지원 환경을 제공해 왔습니다. 10년 동안 이러한 커미션들을 적극적으로 지원하는 현대자동차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올해나 내년만을 계획하는 데 그치지 않고 향후 10년 동안 어떠한 방식으로 이러한 프로젝트를 펼쳐 나갈 것인지에 대해 생각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비전을 자유롭게 펼쳐 나가는 것은 흥미진진한 일입니다.

Q. 미술관과 기업 간의 이상적인 관계는 어떠한 것이라고 생각하십니까?
짚고 넘어가야 할 가장 중요한 점은, 테이트 모던에게 완전한 자유가 주어진다는 사실입니다. 현대자동차와의 후원 관계도 존중과 신뢰를 바탕으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현대자동차는 실험과 혁신의 가치를 중시하며 예술이 우리 생활의 중심에 있어야 한다는 단단한 믿음을 가지고 파트너십을 이어나가고 있습니다. ■ with ARTINPOST
현대 커미션 2016: 필립 파레노 ‘Anywhen’에 대해 더 자세히 알아보기
바로가기 >-
Installation view of Expanded Painting
Photo courtesy Tate Photography
-
Installation view of Artist Rooms: Louise Bourgeois
Photo courtesy Tate Photography
© The Easton Foundation -
Jane Alexander <African Adventure> 1999-2002
© Copyright the artist
-
Daria Martin <Birds> 2001
Film, 16 mm, projection, colour and sound 7min, 30sec
Tate. Purchased 2007
© Daria Martin -
Marcel Duchamp <Fountain> 1917 (replica 1964)
Porcelain, 360 x 480 x 610 mm
Tate. Purchased with assistance from the Friends of the Tate Gallery 1999
© Succession Marcel Duchamp/ADAGP, Paris and DACS, London 2016 -
Switch House, Tate Modern
© Iwan Baan
-
Pupils from Charlotte Sharman Primary School attended the special schools preview day, A.S.S.E.M.B.L.Y., and were the first members of the public to visit the new Tate Modern
Photo courtesy Tate Photography
-
Anywhen © Philippe Parreno
Photo © Tate (Joe Humphrys)
-
Dominique Gonzalez-Foerster <Séance de Shadow Ⅱ(bleu)> 1998
Tate. Purchased 2008
-
Sheela Gowda <Behold> 2009
Human hair and car bumpers
Overall display dimensions variable
Purchased with funds provided by the South Asia Acquisitions Committee 2014 -
Pablo Picasso <The Three Dancers> 1925
Oil paint on canvas, 2153 x 1422 mm
Tate. Purchased with a special Grant-in-Aid and the Florence Fox Bequest with assistance from the Friends of the Tate Gallery and the Contemporary Art Society 1965 © Succession Picasso/DACS 2016 -
Roni Horn <Pink Tons> 2009
Glass, 1100 x 1200 x 1200 mm, 4514 kg
Purchased with funds provided by Tate Americas Foundation, the North American Acquisitions Committee, the Art Fund, Tate Members, Tate Patrons, the artist and with additional assistance from Dominque Levy in honor of Dorothy Berwin 2016
© Roni Horn, courtesy Hauser & Wirth, London
Photo: Tate Photography -
Switch House, Tate Modern
© Iwan Baan
-
Ai Weiwei (born 1957) <Tree> 2010
6800 x 2559 x 2559 mm
ⓒ Ai Weiwei Studio; Courtesy Lisson Gallery -
Gustav Metzger <Liquid Crystal Environment> 1965, remade 2005
5 control units, liquid crystals and slide, 35 mm, 5 projections, colour
22 min overall display dimensions variable
Purchased 2006 ⓒ Gustav Metzger -
Marvin Gaye Chetwynd <Hermitos Children, the pilot episode> 2008
Tate. Presented by Tate Members 2010
Profile

테이트 모던(Tate Modern) 디렉터(관장) 프란시스 모리스(Frances Morris)는 1958년 런던 태생입니다. 모리스는 케임브리지 대학교(University of Cambridge)에서 미술사를, 코톨드 미술학교(Courtauld Institute of Art)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1987년 테이트 갤러리(Tate Gallery) 큐레이터를 시작으로, 테이트 모던 디스플레이 수장(2000-2006), 콜렉션 디렉터로 연이어 재직했습니다. 2016년 1월부터 그는 최초의 영국인이자 여성 관장으로 임명돼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Art Insight: 글로벌 문화예술계 리더가 전하는 동시대 예술의 한 발 앞선 트렌드
바로가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