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SIMG

Art Insight #3: 아네트 쿨렌캄프

예술의 사회적 역할에 대해 근원적 질문을 던지는 카셀 도쿠멘타

동독과 서독의 경계 지역, 독일의 헤센주에 위치한 중소도시 카셀(Kassel)은 세계 2차 대전 시기 완전히 파괴되었습니다. 당시 항공기와 전차를 생산하는 군수공장이 있어 연합군의 폭격 대상이 됐던 탓입니다. 또한 나치는 예술의 다양한 부분들을 모두 차단시켰기 때문에, 전쟁의 폐허에는 예술적 움직임 역시 남아있지 않았습니다. 이에, 카셀 출신의 화가이자 미대 교수였던 아르놀트 보데(Arnold Bode)는 독일 나치정권 하에 자행됐던 반인륜적 행위에 대해 자각하고 반성하며, 나치 이후의 예술을 다시 새롭게 부흥시키고자 했습니다. 보데는 몇몇 동료들과 함께 ‘20세기 서양미술협회’를 창립하고 민간 주도로 자금을 조달하면서 나치 이후의 문화 독일 재건을 목적으로 전시를 열게 됩니다. 1955년, 보데가 설립자로서 연 전시가 바로 첫 번째 도쿠멘타(Documenta)입니다. 이 전시에서 당시 유명한 미술역사가였던 베라 하프트만(Vera Haftmann)은 큐비즘, 표현주의, 미래주의 등의 모던 아트를 카셀로 가져왔습니다. 처음 선보인 이 미술 사조들은 독일인들이 보기에 완전히 새로운 것이었고, 전시는 13만여 명의 방문객을 끌어들이며 놀라울 만한 큰 성공을 거두었습니다.

하여, 단발성으로 기획된 전시는 4~5년에 한 번씩 열리는 정기 전시로 이어지게 됩니다. 전쟁의 황무지에서 반세기 이후 베니스 비엔날레와 더불어 세계 제2대 미술축제로 일컬어지는 ‘카셀 도쿠멘타(Kassel Documenta)’가 피어나게 된 것입니다.
현재, 5년에 한번 100일간 개최되어 ‘100일간의 미술관(Museum of 100 days)’으로 일컬어지는 도쿠멘타는 변화를 거듭하여 매 행사마다 90만 명 이상이 방문하는 세계 최대 현대 미술제이자, 예술이 사회에 어떤 역할을 하는지에 대해 근원적 질문을 던지는 가장 진지한 시각 예술 현장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오는 2017년 제14회를 맞이하는 도쿠멘타가 폴란드 출신의 새로운 예술감독 아담 짐직(Adam Szymczyk)을 맞아 어떤 전시를 선보일지, 전 예술인들의 이목을 끌고 있습니다. 다가오는 카셀을 미리 맞이하기 위해 카셀 도쿠멘타의 대표이사 아네트 쿨렌캄프(Annette Kulenkampff)를 만나봤습니다.

도쿠멘타가 열릴 건물이나 팀조차 정해져 있지 않습니다. 모든 사항들을 재조정해야 하는데, 바꿔 말하자면, 예술감독은 이로써 자유로운 결정권을 가진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와 관련해 카셀 도쿠멘타의 시작이 세계 2차대전 시기, 완전히 파괴됐던 도시 카셀에서 이뤄졌다는 점을 상기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 역사적 특징을 반영해 매회 도쿠멘타는 항상 새롭게 피어납니다. - 아네트 쿨렌캄프 -

Q. 정확하게 카셀 도쿠멘타 대표이사의 역할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CEO로서 저는 매니징 디렉터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재정에 관련된 역할을 포함하여, 팀을 조직하고 운영하는 전반을 책임지고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카셀 도쿠멘타는 매 행사마다 팀이 새로 꾸려지기 때문에, 제 첫 번째 일은 행사를 시작하기 위한 팀을 조직하는 것입니다. 이후, 예술감독이 도쿠멘타를 열 장소를 정하면 이를 실현하기 위해 조율하는 일도 제 몫이고, 카셀 시의 지원을 받기 위해 그들과 이야기를 하는 것도 제 일입니다. 또한, 종종 도쿠멘타와 관련해 발생하는 공공문제들을 해결하기도 합니다. 결국, 대표이사는 도쿠멘타가 성공적으로 열리기 위한 모든 조율에 관여한다고 보면 됩니다. 단, 예술적인 부분은 전적으로 예술감독에게 책임이 있습니다.

Q. 그렇다면, 예술감독은 어떤 역할을 하나요?

거기에 도쿠멘타의 또 하나의 비밀이 있습니다. 매회 새로운 예술감독은 완벽한 공백(그라운드 제로)에서 시작해 모든 것을 새롭게 창조해야만 합니다. 도쿠멘타가 열릴 건물이나 팀조차 정해져 있지 않습니다. 모든 사항들을 재조정해야 하는데, 바꿔 말하자면, 예술감독은 이로써 자유로운 결정권을 가진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와 관련해 카셀 도쿠멘타의 시작이 세계 2차대전 시기, 완전히 파괴됐던 도시 카셀에서 이뤄졌다는 점을 상기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 역사적 특징을 반영해 매회 도쿠멘타는 항상 새롭게 피어납니다.

Q. 매회 주제는 예술감독이 전적으로 결정하나요?

완전히 그렇습니다. 이사회(CEO)는 전문가들로 위원회를 구성하고, 위원회는 예술감독을 결정합니다. 모든 과정은 독립적이며, 결정 이후에는 그들이 하고 싶은 것에 대해 그 누구도 절대 관여할 수 없습니다. 도쿠멘타의 다음 예술감독으로 선정된 아담 짐직의 경우를 예로 들어보죠. 그는 앞으로 콘셉트에 대한 프레젠테이션을 할 텐데, 이사회는 그가 제시하는 콘셉트를 거절할 수 있는 권한이 전혀 없습니다. 이사회에 남은 것은 무조건 “예스”라는 대답뿐입니다. 물론, 이사회의 대표격인 카셀 시의 시장 역시 그 의견에 동의할 수밖에 없습니다.

Q. 향후 카셀 도쿠멘타의 주제는 정해졌나요?

논의되는 주제가 있지만 비밀입니다. 참여 작가들 역시 아직 결정되지 않았으며, 내년에 공개할 예정입니다.

Q. 도쿠멘타는 4~5년에 한번 씩 열립니다. 다른 비엔날레들은 2년 만에 여는데, 여기서 특별한 차이가 발생한다고 보시나요?

아시겠지만, 비엔날레라는 명칭 자체가 ‘2년마다’를 의미합니다. 하여, 4~5년에 한 번씩 열리는 카셀 도쿠멘타는 문법적으로도 비엔날레가 아닙니다. 초반부에는 4년인 경우도 있었지만 현재 5년마다 한 번 열리는데, 개인적으로는 이 점이 카셀 도쿠멘타를 매우 성공적으로 만드는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첫째로, 5년은 예술이 많은 변화를 겪기에 충분한 시간이기 때문이며, 둘째로, 예술감독에게 이를 반영하고 실질적으로 일할 수 있는 4년여의 시간이 주어지기 때문입니다. 이 말인 즉, 그만큼 준비기간이 길다는 의미인데, 이것이 비엔날레와의 차이입니다. 현재 독일에서 열리는 또 다른 큰 행사 ‘뮌스터 조각 프로젝트’는 10년에 한 번씩 열리는데, 이 10년은 예술계의 새로운 변화들을 반영하기에 다소 긴 기간인데 반해, 5년이 새로운 것을 창조하고 반영하기에 매우 적당한 기간이라고 생각합니다.

  • Q. 카셀 시민들은 도쿠멘타를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나요?

    현재, 카셀은 공식적으로 ‘도쿠멘타 시티’로 불리고, 사람들은 그 점을 자랑스러워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렇게 되기까지는 오랜 시간이 걸렸습니다. 현대미술은 어찌 보면 항상 투쟁하게 되는 것 같은데, 이와 관련해 하나의 일화를 떠올려 볼 수 있습니다. 제7회 도쿠멘타에서 요셉보이스(Joseph Beuys)가 7,000 그루의 떡갈나무를 심은 일이 있었습니다. 카셀은 소규모 도시이기 때문에, 이 경우 모든 이가 예술을 대면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하지만 당시에는 사람들이 그 작업에 대해 꼭 호의적이지만은 않았고, 지금처럼 대부분의 사람들이 그 작업을 긍정적으로 인지하기까지는 정말로 많은 시간이 걸렸습니다. 상기할만한 사실은 예술은 언제나 확실하지 않고 깨지기 쉽다는 점입니다. 무언가 새롭게 제시되었을 때 항상 강한 투쟁이 동반되기 때문에 합의를 보는 것이 어렵습니다. 사람들은 완전히 새로운 것을 보고 싶어 하지만, 한편으로 너무 새로운 것은 원하지 않습니다.

  • Q. 하랄드 제만(Harald Szeemann)은 자신이 감독을 맡았던 제5회 도쿠멘타에서 선보인 작업과 큐레이팅에 있어서 혁신적인 실험을 선보이며, 당시 보수적이었던 카셀 시 당국과 갈등을 겪었던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 상황을 현재 어떻게 재해석할 수 있을까요?

    제만은 도쿠멘타가 선정한 최초의 외부 기획자였습니다. 당시 그는 젊고 실험적인 큐레이터였습니다. 그가 회화보다 집중적으로 선보였던 퍼포먼스, 사진 등의 작업은 당시 예술로 받아들여지지 않았죠. 그렇게 그는 도쿠멘타의 모든 것을 완전히 바꾸어 놓았습니다. 매회 새롭게 선정된 예술감독에게 행사를 전적으로 일임하는 현재의 시스템은 제만이 열었던 도쿠멘타를 기점으로 재편된 것입니다. 여느 현대 미술행사가 그렇듯, 도쿠멘타에도 항상 정치적인 문제가 있었고, 시민들의 반발도 있어왔습니다. 하지만 이 모든 과정을 겪으면서 도쿠멘타는 큰 성공을 거뒀고, 오히려 이런 논쟁을 통해 예술적으로, 경제적으로 끊임없이 성장하고 있습니다.

Q. 펀드레이징(재정확보)에 관련한 팁이 궁금합니다.

요즘, 전세계적으로 국가 재정이 점점 어려워지고 있기 때문에 펀드레이징 역시 어려워지고 있습니다. ‘카셀’은 그 자체로 하나의 대명사이자 키워드이기 때문에 그 점이 많은 도움이 되지만, 다른 비엔날레들은 점점 힘들어지고 있다고 알고 있습니다. 사실, 도쿠멘타는 스폰서를 찾기가 힘들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어떤 스폰서인가” 역시 아주 중요하고 조심해야할 문제입니다. 이 과정에서 특기할만한 것은 카셀 도쿠멘타의 스폰서는 카탈로그에 로고만을 실을 뿐, 다른 어떤 것에도 관여할 수 없다는 점입니다. 도쿠멘타가 마켓이나 상업적인 것에 귀속되지 않아왔다는 사실은 도쿠멘타가 계속해서 지켜야 할 필수요소이자 장점이라고 생각합니다. 조언을 해주자면, 무엇이 필요한지를 스폰서에게 명확하게 설명해야 합니다. 하여, 우리는 매회 예술감독이 정한 컨셉과 내용을 정확하게 어필하려고 노력합니다.

Q. 현대미술 비엔날레에서 가장 중요한 필수적인 조건이 무엇이라고 보시나요?

예술가와 큐레이터들에게 제약 없는 자유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현대미술은 언제나 그 중심테마로써 편치 않은 주제를 택하고 그에 대한 발언을 유도해왔습니다. 성공적이고 뛰어난 예술 행사들은 정치적•재정적으로 책임을 지고 있는 사람들이 제약 없는 자유를 지지할 때만 실행될 수 있습니다. 특히, 정치적 관여로 인해 예술적이고 기획적인 면에서 아이디어를 잃게 되는 것은 도쿠멘타 정신의 죽음과도 같습니다.

Q. 곧 있을 당신의 중요한 계획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저는 카셀과 도쿠멘타의 역사를 사람들에게 설명하고 싶습니다. 해서, 역사 투어와 도쿠멘타 투어를 기획하고 있습니다. 역사 투어는 아주 조심해야 하는 부분이지만 동시에 매우 중요한 부분이기도 합니다. 만일 제대로만 실행된다면 많은 사람들로 하여금 도쿠멘타를 더 잘 이해하게 하는데 큰 도움을 줄 것입니다. 앞으로 남은 2년여 동안 해야 할 일이 많습니다. ■ with ARTINPOST

  • Gerhard Richter <Portrait of Arnold Bode>

    1964 Courtesy of the artist Image Courtesy of ARTINPOST

  • Wilhelm Lehmbruck <Kneeling Woman>

    1911 1st documenta 1955 Courtesy of the artist Image Courtesy of ARTINPOST

  • Henry Moore <Draped reclining woman>

    1957 documenta II 1959 Courtesy of the artist Image Courtesy of ARTINPOST

  • Ernst Wilhelm Nay <3 paintings in space>

    1964 documenta III 1964 Courtesy of the artist Image Courtesy of ARTINPOST

  • Christo <5600 cubicmeter package>

    1968 documenta 4 1968 Courtesy of the artist Image Courtesy of ARTINPOST

  • Harald Szeemann

    Artistic director of documenta 5 1972 Image Courtesy of ARTINPOST

  • Joseph Beuys <Planting of the first tree of “7000 oaks” in 1982>

    documenta 7 1982 Courtesy of the artist Image Courtesy of ARTINPOST

  • Jonathan Borofsky <Man walking to the sky>

    1992 DOCUMENTA IX 1992 Courtesy of the artist Image Courtesy of ARTINPOST

  • Body Isek Kingelez <New Manhattan City>

    2001/2002 Documenta 11 2002 Courtesy of the artist Image Courtesy of ARTINPOST

  • Ai WeiWei <Template>

    2007 documenta 12 2007 Courtesy of the artist Image Courtesy of ARTINPOST

  • Guiseppe Penone <Ideas of Stone>

    2004/2008/2010 dOCUMENTA (13) 2012 Courtesy of the artist Image Courtesy of ARTINPOST

  • Aerial View of Friedrichsplatz with documenta-Halle and Fridericianum, two of the venues of documenta 14 (2017)

    Image Courtesy of ARTINPOST

약력

1957년 독일 하노버에서 태어난 쿨렌캄프는 프랑크푸르트 요한볼프강괴테대학교에서 미술사석사학위를 취득했고, 2014년 봄부터 카셀 도쿠멘타의 대표이사 직과 프리더리치아눔 페어안슈탈퉁스 박물관의 디렉터직을 맡고 있다. 1980년에서 1988년까지 프랑크푸르트의 게링-쿨렌캄프 미술관을 공동 경영했고, 1989년에서 1994년까지는 본 독일연방공화국 예술전시관의 출판실장을 역임했다. 1998년부터 슈투트가르트 뷔르템베르크 예술단체의 관리이사직을, 2005년에서 2013년까지 단체의 이사장직을 역임했다. 2009년에서 2013년까지 슈투트가르트 국립미술관연합의 관리이사로 일했으며, 2011년부터 ‘슈투트가르트 문학관의 친구들’ 관리이사직을 맡고 있기도 하다.

Copyright: Edisonga.de. Image Courtesy of ARTINPOST

View more in ART